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1.8. 선고 2017재고합51 판결
대통령긴급조치제9호위반
사건

2017재고합51 대통령 긴급조치 제9호위반

피고인

망 A

재심청구인

검사

검사

이희찬(공판)

변호인

변호사 B(국선)

재심대상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75. 8. 28. 선고 75고합401 판결

판결선고

2018. 1. 8.

주문

피고인은 무죄.

피고인에 대한 판결의 요지를 공시한다.

이유

1. 공소사실의 요지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는, 피고인이 1975. 5. 13. 대통령긴급조치 제9호(이하 '긴급 조치 제9호'라 한다)가 선포되자 위 조치는 4·19 정신에 반하는 것으로서 현 정권을 독재정권화 하는 조치라고 단정하고, 위 조치를 비방하는 내용의 서신을 작성하여 학생 및 정치인 등에게 배포할 것을 결의하고, 1975. 5. 22. 22:00경 서울 동대문구 C에 있는 D여관 6호실에서 양면지에 검은색 볼펜을 사용하여 '긴급조치 제9호는 독재의 길로 가는 것이며 우리 국민과 4·19회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으니 즉각 해제하라. 학생을 무더기로 연행·구속하고 조사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학생은 학원으로 돌려보내 공부를 시켜라. 국민의 눈이 되고 귀가 되어준 신문기자의 자유를 막지 말라.'는 내용의 E대통령, 국민과 4·19 회원, 대학생, 신문기자, 민주공화당 정치위원, 검찰당국 등을 각 수신인으로 하는 서신 6통을 작성하여 긴급조치 제9호를 비방하는 내용의 표현물을 제작하고, 같은 해 5, 26. 17:05경 서울 종로구 F에 있는 G 정문에서 수위 H에게 위 서신 6통을 기자들에게 전해달라고 교부하여 긴급조치 제9호를 비방하는 내용의 표현물을 배포하였다는 것이다.

2. 사건의 경과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가. 피고인은 대통령 긴급조치제9호위반죄로 서울형사지방법원 75고합401호로 기소되었다. 서울형사지방법원은 1975, 8. 28. 위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인정하여 피고인에게 징역 1년, 자격정지 1년을 선고(이하 '재심 대상판결'이라 한다)하였다.

나. 이에 검사가 항소하였으나 서울고등법원은 1975. 12. 9. 검사의 항소를 기각(서 울고등법원 75도1397호)하였으며, 피고인은 상고를 포기하여 재심대상판결은 그 무렵 그대로 확정되었다.

다. 검사는 2017. 11. 22. 긴급조치 제9호가 위헌·무효이므로 이를 근거로 유죄판결을 선고한 재심대상판결에는 재심사유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형사소송법 제424조 제1 호에 따라 재심청구를 하였다. 이 법원은 2017. 12. 1. 재심대상판결에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5호에서 정한 재심사유가 있다고 보아 재심개시결정을 하였고, 위 결정은 그대로 확정되었다.

3. 판단

가. 긴급조치 제9호의 위헌성

평상시의 헌법질서에 따른 권력행사 방법으로는 대처할 수 없는 중대한 위기상황 이 발생한 경우 이를 수습함으로써 국가의 존립을 보장하기 위하여 행사되는 국가긴급권에 관한 대통령의 결단은 존중되어야 할 것이나, 이 같은 국가긴급권은 국가가 중대한 위기에 처하였을 때 그 위기의 직접적 원인을 제거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최소의 한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국가긴급권을 규정한 헌법상의 발동 요건 및 한계에 부합하여야 하고, 이 점에서 구 대한민국헌법(1980. 10. 27. 헌법 제9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유신헌법'이라 한다) 제53조에 규정된 긴급조치권 역시 예외가 될 수는 없다. 유신헌법제53조 제1항, 제2항에서 긴급조치권 행사에 관하여 '천 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 경제상의 위기에 처하거나,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가 중대한 위협을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어, 신속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을 때 그 극복을 위한 것으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근거하여 발령된 긴급조치 제9호의 내용은 '유언비어를 날조, 유포하거나 사실을 왜곡하여 전파하는 행위', '집회·시위 또는 신문, 방송, 통신 등 공중전파수단이나 문서, 도화, 음반 등 표현물에 의하여 대한민국 헌법을 부정·반대·왜곡 또는 비방하거나 그 개정 또는 폐지를 주장 · 청원·선동 또는 선전하는 행위', '학교 당국의 지도, 감독 하에 행하는 수업, 연구 또는 학교장의 사전 허가를 받았거나 기타 의례적 비정치적 활동을 제외한, 학생의 집회·시위 또는 정치관여 행위' 및 '이 조치를 공연히 비방하는 행위' 일체를 금하고(제1항 각 호), 이를 위반한 내용을 방송·보도 기타의 방법으로 공연히 전파하거나, 그 내용의 표현물을 제작·배포·판매·소지 또는 전시하는 행위를 금하며(제2항), 이 조치 등에 위반한 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고, 이 경우에는 10년 이하의 자격정지를 병과하며, 미수에 그치거나 예비 또는 음모한 자도 또한 같고(제7항), 이 조치 또는 이에 의한 주무부장관의 조치에 위반한 자는 법관의 영장 없이 체포·구금 압수 또는 수색할 수 있으며(제8항), 주무부장관은 이 조치 위반자 범행 당시의 그 소속 학교, 단체나 사업체 또는 그 대표자나 장에 대하여 대표자나 장 소속 임직원·교직원이나 학생의 해임 또는 제적의 조치, 휴업·휴교·정 간·폐간 해산 또는 폐쇄의 조치 등을 할 수 있다(제5항)는 것이다. 이는 유신헌법에 대한 논의 자체를 전면 금 지하거나 이른바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적 저항을 탄압하기 위한 것임이 분명하여 긴급조치권의 목적상의 한계를 벗어난 것일 뿐만 아니라, 긴급조치 제9호가 발령될 당시의 국내외 정치상황 및 사회상황이 긴급조치권 발동의 대상이 되는 비상사태로서 국가의 중대한 위기상황 내지 국가적 안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대한 위협을 받을 우려가 있는 상황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으므로, 그러한 국내외 정치상황 및 사회상황에서 발령된 긴급조치 제9호는 유신헌법 제53조가 규정하고 있는 요건 자체를 결여한 것이다.

또한 긴급조치 제9호의 내용은 민주주의의 본질적 요소인 표현의 자유 내지 신체의 자유와 헌법상 보장된 청원권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것으로서, 국가로 하여금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최대한으로 보장하도록 한 유신헌법 제8조(현행 헌법 제10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유신헌법 제18조(현행 헌법 제21조)가 규정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영장주의를 전면 배제함으로써 법치국가원리를 부인하여 유신헌법 제10조(현행 헌법 제12조)가 규정하는 신체의 자유를 제한할 뿐 아니라 유신헌법 제14조(현행 헌법 제16조)가 규정한 주거의 자유를 제한하며, 명시적으로 유신헌법을 부정하거나 폐지를 청원하는 행위를 금지시킴으로써 유신헌법 제23조(현행 헌법 제26조)가 규정한 청원권 등을 제한한 것이다. 더욱이 긴급조치 제9호는 허가받지 않은 학생의 모든 집회·시위와 정치관여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한 자에 대하여는 주무부장관이 학생의 제적을 명하고 소속 학교의 휴업, 휴교, 폐쇄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신헌법 제19조(현행 헌법 제22조)가 규정하는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는 한편, 현행 헌법 제31조 제4항이 규정하는 대학의 자율성도 제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긴급조치 제9호는 그 발동 요건을 갖추지 못한 채 목적상 한계를 벗어나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지나치게 제한함으로써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것이다. 따라서 긴급조치 제9호가 해제 내지 실효되기 이전부터 이는 유신헌법에 위반되어 위헌·무효이고, 나아가 긴급조치 제9호에 의하여 침해된 기본권들의 보장 규정을 두고 있는 현행 헌법에 비추어 보더라도 위헌·무효임이 분명하다(대법원 2013. 4. 18.자 2011초기689 전원합의체 결정 참조).

나. 폐지 또는 실효된 형벌 관련 법령이 당초부터 위헌 · 무효인 경우 법원이 취할 조치

형벌에 관한 법령이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인하여 소급하여 효력을 상실하였거나 법원에서 위헌 무효로 선언된 경우, 법원은 당해 법령을 적용하여 공소가 제기된 피고사건에 대하여 형사소송법 제325조에 따라 무죄를 선고하여야 한다. 나아가 형벌에 관한 법령이 폐지되었다 하더라도 그 '폐지'가 당초부터 헌법에 위반되어 효력이 없는 법령에 대한 것이었다면 그 피고사건은 형사소송법 제325조 전단이 규정하는 '범죄로 되지 아니한 때'의 무죄사유에 해당한다(대법원 2010. 12. 16. 선고 2010도5986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4.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 공소사실은 그 적용법령인 긴급조치 제9호가 당초부터 위헌·무효여서 범죄로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형사소송법 제325조 전단에 따라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형사소송법 제440조 본문에 따라 판결의 요지를 공시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재판장판사김선일

판사신성욱

판사김기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