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울산지방법원 2016.08.30 2015가단57811
약정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 사실

가. 당사자 등의 지위 1) 피고는 1993. 10. 16. 마대 원단 직조 및 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주식회사이다. 2) 원고는 2014. 12. 희망퇴직 신청 당시 피고 품질관리부 선임직원이었고, 노동조합에서 간부(정책부장)직을 맡고 있었다.

3) C은 피고 주식의 21%를 보유하고 있던 2대 주주이자 2007. 3. 20. 취임하여 2015. 1. 5. 해임되기까지 피고의 대표이사이었다. 나. 피고의 퇴직공고 및 원고의 희망퇴직 신청 1) 피고의 당시 대표이사 C은 2014. 12. 29. 다음과 같은 내용의 희망퇴직공고(이하 ‘이 사건 공고’라 한다)를 하였다.

회사 경영상의 이유로 희망퇴직을 받고자 합니다.

1. 대상자: 전 임직원

2. 신청기간: 2014. 12. 29.~2014. 12. 31. 4. 희망퇴직자 처우 1) 1년 연봉을 지급 2) 퇴직금 별도 지급 2) 원고는 2014. 12. 30. 피고에 대하여 희망퇴직 신청을 한 후 2015. 1. 3.자로 퇴사하였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2, 6, 7, 8, 19호증, 을 제7, 10, 15, 20, 21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원고는 피고의 당시 대표이사 C이 공고한 내용에 따라 희망퇴직을 신청한 후 퇴사하였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이 사건 공고에서 정한 바에 따라 퇴직위로금 명목으로 원고의 1년분 연봉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3. 피고 주장의 요지

가. 피고는 희망퇴직 신청을 받을 만한 ‘경영상의 이유’가 없었다.

또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공고에 정해진 ‘희망퇴직 수리 통지’를 하지 않았다.

원고의 희망퇴직신청은 ‘경영상의 이유’, ‘피고가 수리하여 통지하는 경우 희망퇴직 효력이 발생함’이라는 희망퇴직위로금의 지급요건을 결하고 있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