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을 종합하면, D이 업무상 배임행위를 하였고, 피고인은 D의 업무상 배임행위에 단순히 편승한 정도를 넘어 적극적으로 가담한 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판단
가. 형사재판에서 공소가 제기된 범죄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검사에게 있는 것이고, 유죄의 인정은 법관으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진실한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증거에 의하여야 하며, 이러한 정도의 심증을 형성하는 증거가 없다면 설령 피고인에게 유죄의 의심이 간다
하더라도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대법원 2000. 2. 25. 선고 99도4305 판결 등 참조). 나.
위 법리에 비추어 살피건대, 이 사건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면밀히 검토해 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D이 업무상 임무에 위반한 배임행위를 하여 피고인에게 합계 1억 3,676만 원 상당의 이득을 취득하게 하고 피해 회사에게 동액 상당의 손해를 가하였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증명되었다고 보기 어렵고, 설령 적정한 가격보다 다소 과다한 금액으로 계약이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이 D의 다소 높은 가격 제시에 소극적으로 응한 것을 초과하여 그 배임행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방법으로 공모하였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보아,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무죄라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여 수긍이 가고, 거기에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검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