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4.01.16 2013도13046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영리약취ㆍ유인등)등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친고죄에서 고소는 고소권 있는 자가 수사기관에 대하여 범죄사실을 신고하고 범인의 처벌을 구하는 의사표시로서 서면뿐만 아니라 구술로도 할 수 있다.

다만 구술에 의한 고소를 받은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은 조서를 작성하여야 하지만 그 조서가 독립된 조서일 필요는 없으며, 수사기관이 고소권자를 증인 또는 피해자로서 신문한 경우에 그 진술에 범인의 처벌을 요구하는 의사표시가 포함되어 있고 그 의사표시가 조서에 기재되면 고소는 적법하다

(대법원 2011. 6. 24. 선고 2011도4451, 2011전도76 판결 등 참조). 한편 고소의 취소는 제1심판결 선고전까지만 할 수 있는 것으로서(형사소송법 제232조 제1항) 제1심판결 선고 후에 고소가 취소된 경우에는 그 취소의 효력이 없으므로, 친고죄에 있어서도 같은 법 제327조 제5호의 공소기각의 재판을 할 수 없다

(대법원 1985. 2. 8. 선고 84도2682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법리 등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피해자에 대한 경찰 제4회 진술조서에 피고인의 간음유인 범행에 대하여도 처벌을 요구하는 피해자의 의사표시가 기재되어 있다고 볼 것이어서 친고죄인 이 사건 간음유인 공소사실에 대하여 피해자의 적법한 고소가 있었다고 할 것이다.

또한 피고인의 처벌을 원하지 아니한다는 피해자의 의사표시가 담긴 합의서 등이 제1심판결이 선고된 뒤 원심에서 비로소 제출되었던 이상 이 사건 간음유인 공소사실에 대한 고소취소로서의 효력은 인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이 사건 간음유인 공소사실에 대하여 공소기각판결을 선고하지 아니한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친고죄, 이에 대한 고소 및 고소취소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