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06.21 2017가합577940
차용금
주문

1. 원고(선정당사자)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선정당사자)가 부담한다.

이유

1. 근저당권이 설정된 부동산의 양수인과 같은 제3취득자는 이해관계 있는 제3자로서 채무자의 의사에 반하여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할 수 있고(민법 제469조 참조), 위 변제로써 채권자의 채권은 소멸한다.

다만 변제할 정당한 이익이 있는 자가 채무자를 위하여 대위변제할 경우에 대위변제자는 구상권의 범위 내에서 종래 채권자가 가지고 있던 채권 및 담보에 관한 권리를 취득하게 되므로(민법 제481조, 제482조 제1항 참조), 채권 소멸의 효력은 상대적 소멸의 효과만을 가지게 된다.

2. 원고는 당초 이 사건 청구원인으로, 망 G가 2013. 4. 12. H(피고의 배우자로 보인다) 소유의 강릉시 I 대지 및 그 지상 건물(이하 ‘이 사건 담보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채권최고액 3억 원인 근저당권을 설정받고 2013. 4. 16. 피고에게 2억 3,000만 원을 대여하였고, 당시 피고는 공동주택 건설에 관한 사업승인을 받아 PF자금을 수령하게 되면 위 대여원금을 변제하기로 약정하였는데, 피고가 사업승인을 받지 못한 채 위 대여원금도 반환하지 않았으며, 이후 망 G의 사망으로 그의 처인 선정자 D과 자녀들인 원고, 선정자 F, 선정자 E가 망인의 피고에 대한 위 대여금채권을 공동으로 상속하였다고 주장하면서, 피고에 대하여 위 대여원금 2억 3,000만 원 중 원고 및 선정자들(원고를 제외한 선정자들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각 상속분에 해당하는 금원의 반환을 청구하였다

(이에 대하여 피고는, 위 2억 3,000만 원의 실질이 ‘대여금’이 아니라 ‘투자금’으로서 망 G의 측의 잘못으로 투자 사업이 실패하게 되었고, 피고가 사업에서 일방적으로 배제되어 손해를 입었다는 등의 주장을 하면서 이 사건 청구를 다투었다). 그런데, 원고는 제2차...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