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09.03 2013가단190379
잔여지매수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의 아버지인 C(이하 ‘망인’이라 한다)은 1988. 11. 20. 사망하였는데, 사망 당시 경기 여주군 B 전 958㎡(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를 소유하고 있었다.

나. 이 사건 토지는 1990∽1991년경 건설부 산하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시행한 ‘청미천수해복구공사’에 편입되어 그 일부 지상에 제방이 축조되었고, 그 무렵부터 청미천의 제방부지 및 제외지로 사용되고 있다.

다. 피고는 청미천의 제방부지 및 제외지로 이 사건 토지의 사용을 개시할 무렵 당시 시행되던 공공용지의 취득 및 손실보상에 관한 특별법 제6조 제6조 ① 사업시행자가 공공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토지 증의 취득 또는 사용이 필요하여 협의를 행하고자 할 경우 토지 등의 소유권자의 주소 또는 거소의 불명으로 협의를 행할 수 없을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공시송달로써 협의에 갈음할 수 있다.

② 제①항의 규정에 의한 토지 등에 대한 보상금의 지급은 이를 공탁으로 갈음할 수 있다.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에 따라 협의에 갈음한 공시송달 1991. 11. 30.자로 소유권자의 주소 및 거소불명을 사유로 사업시행자, 공공사업의 종류 및 명칭, 토지의 표시 및 보상금액을 일간신문에 게재하는 방법으로 공고하였다.

절차를 거친 다음, 1991. 12. 31. 수원지방법원 여주지원 91년금제701호로 ‘공탁물을 수령할 자의 주소 성명’을 당시 이 사건 토지등기부의 소유자 및 그 주소인 ‘여주군 D, E C이 E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 ’으로 하여 보상금 3,784,100원을 공탁하였다. 라.

원고는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수원지방법원 여주지원 1994. 12. 16. 접수 제2631호로 1985. 5. 10.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마. 청미천은 구 하천법 1961. 12. 30....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