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5.04.24 2014구단15088
체류기간연장등불허가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의 외국인으로 2006. 5. 22. 중국에서 B과 혼인한 후 2007. 3. 9. 방문동거(F-1) 사증으로 입국하였고, 2009. 2. 23. B이 귀화함에 따라 2009. 11. 20. B과 혼인신고를 마치고 2010. 2. 3. 국민의 배우자(F-2, 현재는 F-6-가목임)로 체류자격을 변경하였다.

나. 원고는 2012. 6. 7. B을 상대로 잦은 외박과 폭행 등을 이유로 한 이혼 및 위자료 등 청구의 소를 제기하였고(서울가정법원 2012드단46661), B에 대한 공시송달로 사건이 진행되어 2013. 2. 14. ‘원고와 B은 이혼한다. B은 원고에게 위자료로 5,000,000원을 지급하라’는 내용의 원고 승소 판결이 선고되었으며, 2013. 3. 5. 위 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원고와 B은 이혼하였다.

다. 원고는 2013. 5. 31. 체류기간연장신청을 하여 2014. 7. 27.까지 혼인단절자(F-6-다목) 자격으로 체류기간이 연장되었고, 이후 원고가 2014. 7. 7. 피고에게 다시 체류자격 연장을 신청하였으나, 피고는 2014. 10. 22. ‘전혼의 진정성 결여 및 전배우자 귀책사유 입증미비 등 기타의 사유’로 체류기간 연장을 불허하는 이 사건 처분을 하였다.

[인정근거] 갑 제1, 2, 7호증, 을 제1호증(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원고는 B과 정상적인 혼인생활을 영위하였고 B의 폭행 등 귀책사유로 인하여 이혼을 하게 되었으므로, 원고에게 책임이 없는 사유로 배우자와 정상적인 혼인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된 경우에 해당하고, 원고가 2013. 5. 31. 체류기간 연장 이후 건물 일부를 임차하여 음식점을 운영하여 왔는데 이 사건 처분으로 인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예상되므로, 원고의 체류기간연장을 불허한 이 사건 처분은 사실을 오인하거나 재량권을 일탈,...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