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유족급여수급권의 법률적 성질 및 그 수급권자에 관한 특례규정인 공무원연금법 제30조 제1항 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소극)
[3] 공무원이 재직 중 사망한 경우 퇴직급여의 문제가 생기는지 여부(소극)
[2] 구 공무원연금법(1995. 12. 29. 법률 제511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제2호 , 제28조 , 제29조 , 제30조 , 제42조 제3호 , 제4호 , 제56조 , 제57조 , 제60조 , 제61조의2 의 규정은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자의 사망 당시 그에 의하여 부양되고 있던 유족의 생활보장과 복리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민법과는 다른 입장에서 수급권자를 정한 것으로, 수급권자인 유족은 상속인으로서가 아니라 이들 규정에 의하여 직접 자기의 고유의 권리로서 취득하는 것이고, 따라서 그 각 급여의 수급권은 상속재산에 속하지 아니하므로 같은 법 제30조 제1항 이 정하는 수급권자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상속재산으로서 다른 상속인의 상속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위 규정이 국민의 재산권보장에 관한 헌법 제23조 의 규정에 위배되는 것도 아니다.
[3] 구 공무원연금법 제46조 , 제48조 , 제56조 , 제57조 , 제60조 등의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공무원의 퇴직을 사유로 하는 퇴직급여는, 공무원이 재직 중 사망하거나 공무원이었던 자로서 퇴직연금 또는 장해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한 경우에 그 유족에게 지급되는 유족급여와는 그 발생사유 및 수급권자, 금액 등에서 차이가 있어 구별되는 것으로, 공무원이 재직 중 사망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퇴직을 사유로 한 퇴직급여의 문제는 생기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원고,상고인
원고 1 외 12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강인애)
피고,피상고인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그리고 공무원연금법(1995. 12. 29. 법률 제511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제2호 , 제28조 , 제29조 , 제30조 , 제42조 제3호 , 제4호 , 제56조 , 제57조 , 제60조 , 제61조의2 의 규정은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자의 사망을 사유로 하여 지급받을 급여(유족급여 또는 사망퇴직수당), 그 수급권자의 범위 및 순위와 지급방법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바, 이들 규정은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자의 사망 당시 그에 의하여 부양되고 있던 유족의 생활보장과 복리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민법과는 다른 입장에서 수급권자를 정한 것으로, 수급권자인 유족은 상속인으로서가 아니라 이들 규정에 의하여 직접 자기의 고유의 권리로서 취득하는 것이라 할 것이고, 따라서 위 각 급여의 수급권은 상속재산에 속하지 아니하므로 같은 법 제30조 제1항 이 정하는 수급권자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상속재산으로서 다른 상속인의 상속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고, 위 규정이 국민의 재산권보장에 관한 헌법 제23조 의 규정에 위배되는 것도 아니라고 할 것이다 .
한편, 공무원연금법 제46조 , 제48조 , 제56조 , 제57조 , 제60조 등의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공무원의 퇴직을 사유로 하는 퇴직급여는, 공무원이 재직 중 사망하거나 공무원이었던 자로서 퇴직연금 또는 장해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한 경우에 그 유족에게 지급되는 유족급여와는 그 발생사유 및 수급권자, 금액 등에서 차이가 있어 구별되는 것으로, 공무원이 재직 중 사망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퇴직을 사유로 한 퇴직급여의 문제는 생기지 아니한다 고 할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망 소외 1과 같이 공무원으로서 재직 중 사망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퇴직을 사유로 한 퇴직급여의 문제는 생기지 아니한다고 하여 위 망인에게 퇴직급여청구권이 발생하였음을 전제로 한 원고들의 이 사건 퇴직연금일시금청구를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논하는 바와 같이 퇴직급여와 유족급여의 법률적 성격을 잘못 해석한 위법이 있다거나 공무원연금법 제30조 제1항 의 규정이 헌법 제23조 의 규정에 위반됨을 간과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가 지적하는 당원 1991. 1. 21. 선고 91누3192 판결 은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자가 퇴직 후 그 퇴직급여를 청구하였다가 이를 수령하지 못한 채 사망하자 그 재산상속인이 퇴직일시금의 지급을 청구한 사안으로 이 사건과는 사안을 달리하여 여기에 원용하기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제2점에 대하여
'급여의 수급자에 대한 특례'에 관한 공무원연금법 제30조 의 규정은 1982. 12. 28. 법률 제3586호로 전문 개정될 당시에 마련된 규정이고, '퇴직수당'에 관한 같은 법 제42조 제4호 및 제61조의2 의 규정은 그 이후인 1991. 1. 14. 법률 제4334호로 개정될 당시에 신설된 규정임은 논하는 바와 같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원고들이 같은 법 제30조 에서 정하는 유족 내지 직계비속이 아님을 이유로 이 사건 퇴직수당청구를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논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도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