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8.06.07 2018구단5591
난민불인정결정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파키스탄회교공화국(Islamic Republic of Pakistan, 이하 ‘파키스탄’이라 한다) 국적의 외국인으로서 2014. 7. 17. C-3(단기방문) 체류자격으로 대한민국에 입국하였다.

나. 원고는 2014. 10. 2. 피고에게 난민인정 신청을 하였으나, 피고는 2016. 9. 19. 원고에게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The 1951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이하 ‘난민협약’이라 한다) 제1조 및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The 1967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이하 ‘난민의정서’라 한다) 제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가 인정되기 어렵다는 이유로 난민불인정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하였다.

다. 원고는 2016. 10. 28. 이 사건 처분에 불복하여 법무부장관에게 이의신청을 하였으나, 법무부장관은 2017. 12. 7. 같은 이유로 원고의 이의신청을 기각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4호증(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 을 제1 내지 3호증의 각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

2. 주장 및 판단

가. 원고의 주장 원고는 시아파 무슬림으로 수니파 무슬림인 전 남편과 종파적인 문제로 갈등을 겪어오다 이혼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수니파 무장단체인 Lashkar-e-Jhangvi 조직원인 전 남편은 이혼 후에도 원고를 찾아와 폭력을 행사하곤 하였다.

원고가 본국인 파키스탄으로 돌아가게 될 경우 원고의 전 남편으로부터 생명 또는 신체적 자유에 대한 위협을 받을 우려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고의 난민인정 신청을 받아들이지 아니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므로 취소되어야 한다.

나. 판단 1 난민법 제2조 제1호는 난민을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집단의 구성원인 신분 또는 정치적...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