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2016.02.05 2015가단25708
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기청구등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원고의 주장 원고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원고의 남편 D는 분할 및 합병 전 인천 서구 E 전 137㎡(이하 ‘이 사건 1토지’라고 한다) 및 분할 및 합병 전 F 임야 269㎡(이하 ‘이 사건 2토지’라고 한다)를 소유하고 있었다.

D가 1996. 9. 13.경 사망한 후 이 사건 각 토지에 대하여 원고의 아들 C 명의로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고, 1998. 4. 6. 피고 B 명의로 교환을 원인으로 한 청구취지 기재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으며, 그 후 나머지 피고들 명의로 순차적으로 청구취지 기재 각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그러나 원고는 상속재산분할에 대한 서류를 작성해 준 사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C 명의로 위와 같은 등기가 마쳐졌고, 피고 B은 반대급부 없이 서류를 위조하여 자신의 명의로 등기를 마친 것이므로, C 및 피고 B 명의 각 등기는 원인무효이다.

따라서 피고들은 이 사건 1토지에 관하여 자신들 명의로 마쳐진 위 각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할 의무가 있고, 피고 B, 피고 공사는 원고에게 이 사건 2토지에 대하여 진정명의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줄 의무가 있다.

2. 판단

가. 부동산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져 있는 경우에는 그 등기명의자는 적법한 등기원인에 의하여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를 다투는 측에서 그 무효사유를 주장, 입증하여야 한다

(대법원 1993. 5. 11. 선고 92다46059 판결 등 참조). 나.

원고는 C 명의의 각 등기가 무효이므로 자신이 진정한 소유자라고 주장하며 이 사건 각 청구를 하고 있으므로 C 명의의 각 등기가 무효인지 여부에 관하여 본다.

앞서 본 바와 같은 등기의 추정력에 따라 이 사건 각 토지에 대하여 마쳐진 C 명의의 등기는 적법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