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 2015.09.04 2015가합1729
퇴직연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1975. 4. 17. B과 혼인신고를 마치고 혼인생활을 하던 중 2014. 4. 11. 광주가정법원 2014드합107호 이혼 등 소를 제기하였다.

광주가정법원은 2014. 6. 11. ‘원고와 B은 이혼하고, B은 원고에게 재산분할을 원인으로 화해권고 확정일 다음날부터 B이 사망하기 전날까지 B이 매월 지급받는 퇴직연금액 중 50%의 비율로 계산한 돈을 매월 말일에 지급한다’는 내용의 화해권고결정을 하였고, 위 결정은 2014. 6. 27. 확정되었다.

나. B은 1979. 3.경(원고는 1977. 3.경부터 근무하였다고 주장하나, 갑 제2호증에 나타난 재직기간과 퇴직일을 역산하면 1979. 3.경부터 근무한 것으로 보인다) 사립학교인 학교법인 조선대학교에 고용되어 378개월을 근무하다가 2010. 8. 31. 퇴직하였고, 피고로부터 2010. 9.부터 매월 약 3,890,000원을 연금으로 받고 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2호증의 각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들의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원고의 주장 원고와 B은 위 광주가정법원의 화해권고결정에 따라 B이 피고로부터 받을 연금 중 2분의 1을 원고에게 지급하기로 하였는데, 원고는 위 화해권고결정이 확정된 2014. 6. 27. 이후부터 현재까지 B으로부터 퇴직연금을 전혀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피고는 B에게 지급할 퇴직연금액의 50%를 원고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

나. 피고의 주장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공무원연금법에 비추어볼 때 피고에게 퇴직연금의 지급을 구할 수 있는 자는 교직원이었던 B만 가능하고, 원고와 B 사이의 화해권고결정문 그 내용상 ‘B이 원고에게 재산분할을 원인으로 퇴직연금 중 50%를 지급한다’는 취지로 기재되어 있을 뿐,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B의 퇴직연금 중 50%의 지급을 구할 수 있다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