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2020.11.10 2019가합63231
손해배상(기)
주문

1.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기초사실

가. 피고 C이 등기부상 소유자로 되어 있는 인천 강화군 D 임야 38,083㎡의 실질적인 소유자이자, 인천 강화군 E 임야 15,769㎡(이하 위 토지들을 합하여 ‘이 사건 각 토지’라 한다)의 소유자인 피고 B는 원고에게 이 사건 각 토지를 개발하여 그 지상에 노유자시설(노인복지시설, 이하 ‘노유자시설’이라고만 한다)을 건립하는 것을 허락하면서 2011. 12. 28. 이 사건 각 토지에 대한 토지사용승낙서를 작성하여 교부하였고, 원고는 이를 첨부하여 인천광역시 강화군(이하 ‘강화군’이라고만 한다)에 이 사건 각 토지에 대한 개발행위(토지형질변경) 허가신청을 하였다.

나. 강화군은 2013. 1. 11. 이 사건 각 토지 등에 대하여 허가기간을 2013. 1. 11.부터 2014. 1. 10.까지로 정하여 위 개발행위(토지형질변경)를 허가하였으나 원고는 위 개발행위 허가기간 내에 개발행위를 완료하지 못하였고, 피고 B는 2015. 7. 8. 강화군에 ‘이 사건 각 토지의 원고에 대한 토지사용승낙을 부동의한다’는 내용이 기재된 토지사용승낙 부동의 확인서를 제출하였다.

다. 원고는 2016. 11. 11. ‘피고들이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사용승낙을 할 의무가 있음에도 강화군에 토지사용승낙 부동의 확인서를 제출하여 원고의 노유자시설 신축사업의 진행을 방해하였다’고 주장하면서, 피고들을 상대로 인천지방법원 2016가합3665호로 채무불이행 또는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 청구의 소를 제기(일실수익 손해액 약 60억 원 및 인접 토지 매매계약금 및 중개수수료, 개발행위허가 관련 비용 등 적극적 손해액을 합한 손해액 중 일부인 776,790,120원을 청구함, 이하 ‘선행소송’이라 한다)하였고, 피고 B는 위 소송에서 원고를 상대로 인천지방법원 2016가합3672호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