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춘천지방법원원주지원 2014.05.27 2013가단4325
소유권이전등기말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조선 E의 장인으로서 F씨 13세인 G의 후손들은 다음과 같다.

13세 : G 14세 : 1자 H 15세 : 1자 I 16세 : 1자 J, 2자 K, 3자 L 16세 : J 17세 : 1자 M, 2자 N 17세 : N 18세 : 1자 O

나. 원고는 위 G의 종손으로서 1964년경 미국으로 유학을 가서 시민권을 취득하였다가 1995년경 국적을 회복해 귀국할 때까지 미국에서 거주하였고, 피고는 위 O을 공동 선조로 하여 그 후손들로 구성된 종중이다.

다. 이 사건 제1, 2토지는 최초 1915. 5. 29. P 외 4인 명의로 사정되었는데, 토지조사부의 소유자란 밑에 ‘종중재산’이라는 표시가 기재되어 있다.

그 후 이 사건 제1, 2토지는 1942. 7. 28. 모두 원고의 아버지인 Q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라.

이 사건 제1토지는 그 소유명의자가 Q으로 등기되었다가 ‘구 일반농지의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법률 제1657호, 실효, 이하 ’농지특조법‘이라 한다)’에 의하여 1965. 6. 4. R에게 1957. 6. 7. 매매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 되었고, 그 후 ‘구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법률 제3094호, 실효, 이하 ’부동산특조법‘이라 한다)’에 의하여 1981. 5. 2. 피고에게 1970. 10. 20. 매매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 되었다.

마. 이 사건 제2토지는 1965. 6. 8. 그 명의자가 R으로 소유권보존등기 되었다가(단, 구 토지대장에는 1965. 6. 4. Q에서 R으로 소유권이전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후 부동산특조법에 의하여 1981. 5. 2. 피고에게 1970. 10. 20. 매매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 되었다.

바. 한편, J를 공동 선조로 하여 그 후손들로 구성된 S종중은, "이 사건 제1토지와 마찬가지로 1915년에 P 외 4인 명의로 사정되면서 토지조사부의 소유자란 밑에 ‘종중재산’이라는 표시가 기재되어 있고, 1942. 7. 28....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