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동부지방법원 2017.11.16 2017가합100855
총회결의무효확인
주문

1. 피고가 2016. 5. 20. 임시총회에서 한, C, D, E, F을 이사로 선임한 결의는 무효임을 확인한다.

2....

이유

인정사실

다음의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거나 갑 제1, 3, 5, 6, 7호증의 각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에 의하여 이를 인정할 수 있고 달리 반증이 없다.

피고는 G 선생의 위업을 추모하기 위한 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고, 원고는 피고의 회장으로, C는 피고의 이사로 각 재직하였던 사람들로서 모두 피고의 회원이다.

C를 비롯한 피고의 회원들 중 일부는 ‘피고는 2016. 5. 20. 총 회원 수 39명 중 21명의 출석으로 회원총회(이하 ’이 사건 총회‘라고 한다)를 개최하여 주문 기재와 같은 결의(이하 ’이 사건 결의‘라고 한다)를 하였다’는 취지의 내용으로 피고의 총회 의사록을 작성하였는데, 2016. 5. 20. 당시 피고의 회장이던 원고는 이 사건 총회를 소집하지 아니하였으며, 그 이전에 C 등 피고의 회원들로부터 위 총회의 소집을 요구받지도 아니하였다.

한편 피고는 그의 회원이자 전임 이사인 H과 I에게 이 사건 총회의 소집을 통지하지 아니하였으며, 피고의 회원들 중 일부에게는 서면이 아닌 전화연락의 방법으로 위 총회의 소집을 통지하였다.

피고의 정관 중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제6조(회원의 종류) 본회는 정회원, 단체회원, 특별회원, 명예회원, 준회원(청소년)으로 구성한다.

제12조(임원의 종류와 정수)

1. 회장 1인

3. 이사 15인 이내(회장, 부회장 포함) 제13조(임원의 선임) ① 임원은 총회에서 선출한다.

제16조(임원의 직무) ① 회장은 본회를 대표하며 총회와 이사회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되며 회무를 통괄한다.

제19조(총회의 구성) 총회는 본회의 최고 의결기관이며 정회원과 단체 회원으로 구성한다.

제20조(총회의 구분 및 소집) ①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며 회장이 이를 소집한다.

②...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