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20.01.09 2019구합57947
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을 포함하여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재심판정의 경위 원고는 2000. 1. 5. 설립되어 상시근로자 40여 명을 사용하여 스티커 및 라벨 제조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법인이다.

참가인들은 2009. 9. 1.부터 2016. 1. 1. 사이에 원고에 각 입사하여 포장부에서 근무하던 직원들이다.

참가인들은 2013. 6. 4.경 W노동조합(이하 ‘이 사건 노동조합’)에 가입하였다.

참가인들의 입사일 및 이 사건 노동조합 내 지위는 아래와 같다.

참가인 C, F, G은 2014. 12. 31. 퇴직하였다가 2016. 1. 1. 재고용되었고, 참가인 K, P는 ‘생산부’, ‘출고부’로 입사하였으나 2013. 9. 3.부터 2014. 11. 28. 사이에 위 참가인들의 동의로 포장부로 전환되었다.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참가인들과 이 사건 노동조합은 2018. 4. 27.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원고가 2018. 1. 29. 참가인들을 포장부에서 영업부로 전환배치하였는데 이는 부당전환배치에 해당하고, 불이익 취급 및 지배ㆍ개입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며, 원고가 2018. 2.경부터 휴대폰 2대, 바디캠, CCTV 등의 영상장비를 사용하여 참가인들을 상시 감시ㆍ사찰한 행위와 원고가 참가인들에게 지속적으로 행한 징계 협박은 불이익 취급 및 지배ㆍ개입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면서 구제신청을 하였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2018. 8. 27. '원고는 참가인들을 2018. 1. 29.자로 포장부에서 영업부로 전환배치하였는데 그 전환배치는 업무상 필요에 따른 것이라고 보기 어려워 부당하나, 전환배치와 관련하여 원고에게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있었다고 단정할 수 없고 전환배치로 노동조합 활동이 위축되었음을 입증할 만한 자료가 없어 불이익 취급 및 지배ㆍ개입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렵고, 원고의 대표가 영상장비를 사용한 것과 참가인들에게...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