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1963. 9. 24.자 63도256-1 결정
[강간·살인·사체유기·강간미수]
AI 판결요지
가. 군법회의법 제132조 소정의 제한을 빌어 구속기간을 갱신하여 불법구속을 하였다 하더라도 그 불법구속자에 대하여 형사상, 민사상의 책임을 묻거나 불법구속기간중에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을 부인함은 모르되 군법회의법 제110조 소정의 구속의 사유가 계속하여 엄존하는 이상 같은법 제133조 에서 말한 "구속의 사유가 없거나 소멸된때"에 해당한다고는 볼 수 없다. 나. 군법회의법 제132조 소정의 구속기간을 갱신하여 불법구속을 하였다 하더라도 그 위법이 상소심에 승계되어 상소심에서는 구속을 계속할 법률상 근거가 소멸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다. 불법의 구속기간을 갱신하였다 하여 구속영장의 효력이 당연히 실효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피 고 인

피고인

구속취소청구인 변호인

변호사 이용만

주문

피고인의 변호인의 구속취소 청구를 기각한다.

이유

제1심 보통 군법회의와 제2심 고등 군법회의에서 군법회의법 제132조 , 제145조 소정의 제한을 빌어 구속기간을 갱신하여 불법구속을 하였다하더라도 그 불법구속자에 대하여 형사상, 민사상의 책임을 묻거나 불법구속기간중에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을 부인함은 모르되 군법회의법 제110조 소정의 구속의 사유가 계속하여 엄존하는 이상(본건에 있어서 피고인은 제1심에서 사형, 제2심에서 무기징역의 선고를 받아 도망할 염려가 있음) 같은법 제133조 에서 말한「구속의 사유가 없거나 소멸된때」에 해당한다고는 볼 수 없다 할것이다.

그럴뿐만 아니라 군법회의법 제132조 에는 …심급마다 2차에 한하여 …갱신할수 있다 라고 규정되어 있고 각 심급은 그 심급으로서의 사건심판에 필요한 심리기간을 가져야할 것이므로 하급심이 불법하게 구속기간을 갱신하여 불법구속을 하였다 하더라도 그 위법이 상소심에 승계되어 상소심에서는 구속을 계속할 법률상 근거가 소멸되는 것이라고는 할수 없을것이고 상소심은 하급심에서 군법회의법 제145조 에 의하여 적법히 갱신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고유의 구속기간 갱신의 권한을 상실한다할수 없을것이며 또 불법의 구속기간을 갱신하였다하여 구속영장의 효력이 당연히 실효된 것이라고도 할수 없는것이므로 어느점으로 보나 본건구속의 사유가 소멸되었다고는 할수 없을 것이다.

이상의 이유로 변호인의 본건 청구는 인용할수 없으므로 대법원판사 홍순엽 동 방순원을 제외한 관여법관 전원의 일치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본건에 대한 대법원판사 홍순엽 동 방순원의 반대의견은 아래와 같다.

군법회의법 제132조 제1항 에 의하면 구속기간은 특히 계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심급마다 2차에 한하여 결정으로 갱신할수 있다고 규정하였고 같은법 제145조 에 의하면 상소기간중 또는 상소중의 사건에 관하여 구속기간의 갱신결정은 소송기록이 원심 군법회의에 있는 때에는 원심군법회의가 하여야한다는 취지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각 심급에 있어 사건심리기간중 구속계속의 필요가 있는경우에 2차에 한하여 구류갱신결정을 할수 있고 상소기간중 또는 상소중의 사건에 관하여 특히 구류갱신의 필요있을 때에는 1차에 한하여 소송기록이 있는 원심 군법회의가 구류 갱신결정을 할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바 본건에 있어 1심인 보통군법회의는 위 법조에 위반하여 그 심리 기간중 3차, 판결선고후 공소중 2차에 긍하여 피고인에 대한 구류갱신결정을하고 원심인 고등군법회의는 심리기간중 2차 판결선고후 상고중 1차에 긍하여 피고인에 대한 구류갱신결정을 한 사실이 본건 기록에 비추어 명백하므로 적어도 원심 군법회의가 1963. 7. 6. 자 와 같은해 8. 28.에한 구속 갱신결정은 위 군법회의법의 취지에 비추어 위법이라할것이며 특히 본건 피고인은 현재까지 16월이상이나 구속 상태에 있고 현재의 구속상태로 적법한 것이라 할 수 없음의 일건 기록에 의하여 명백하므로 피고인에 대하여 구속을 계속할 법률상 근거가 소멸된 것이다.

대법원판사 이영섭(재판장) 사광욱 홍순엽 양회경 방순원 최윤모 나항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