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 2018.11.28 2016가단37203
공사대금
주문

1. 피고는,

가. 원고로부터 17,150,000원을 지급받음과 동시에 원고에게 17,150,000원을 지급하고,...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2015. 10. 6. 피고와 피고 소유의 원주시 C 토지 지상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이하 ‘이 사건 주택’이라 한다)을 신축하는 공사(이하 ‘이 사건 공사’라고 한다)에 관하여 공사대금을 224,200,000원으로 정하여 도급계약(이하 ‘이 사건 도급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다.

순번 지급시기 금액 지급방법 1 2015. 10. 6. 60,000,000원 D(원고의 처) 명의 계좌에 입금 2 2015. 10. 30. 30,000,000원 D의 지시에 따라 E(D의 조카) 명의 계좌에 입금 3 2015. 12. 24. 28,392,000원 F(원고의 자녀) 명의 계좌에 입금 4 2016. 2. 5. 39,995,610원 F(원고의 자녀) 명의 계좌에 입금 5 2016. 4. 12. 50,000,000원 F(원고의 자녀) 명의 계좌에 입금 합계 208,387,610원

나. 피고는 이 사건 도급계약에 따라 원고에게 아래와 같이 공사대금 208,387,610원을 입금하였다.

다. 이 사건 주택은 2016. 9. 20. 사용승인을 받았고, 원고는 피고에게 이 사건 주택을 인도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3호증, 을 제1, 3호증의 각 기재(가지번호 있는 것은 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 증인 D의 증언, 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의 주장

가. 원고의 주장 1) 원고는 피고의 요청에 따라 이 사건 공사 외에 추가로 산재보험료, 건축설계비, 준공청소비를 부담하였고, 현관문, 토목조경(장비, 잔디, 연산홍, 천재지변으로 인한 재공사 등), 씽크대, 전기계량기, 가스설비, 데크, 인터폰 및 보안공사(이하 통틀어 ‘이 사건 추가공사’라고 한다

)까지 시공하여 이를 모두 완공하였다. 2) 피고가 2015. 10. 30. D에게 지급한 30,000,000원은 원고의 동의 없이 피고가 임의로 D에게 지급한 것이므로 공사대금으로 인정할 수 없다.

다만, D이 위 30,000,000원 중 15,000,000원은 원고에게...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