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2017.02.14 2016가단211615
부당이득금
주문

1. 피고는 원고에게 133,726,354원 및 이에 대하여 2016. 7. 1.부터 2016. 12. 12.까지는 연 5%, 그...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1985. 5. 1. 공무원으로 임용되어 B대학에서 근무하던 중 1987. 4. 23. 부산지방법원에서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죄로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고, 위 판결은 1987. 12. 27. 확정되었다

(이하 위 판결을 ‘이 사건 집행유예 판결’이라고 한다). 나.

원고는 이 사건 집행유예 판결 확정 이후에도 계속하여 사실상 공무원으로 근무하여 오다가 2016. 6. 30. 정년퇴직하였다.

다. 원고는 이 사건 집행유예 판결 확정으로 당연퇴직된 다음날인 1987. 12. 28.부터 정년퇴직일인 2016. 6. 30.까지 계산된 근로기준법상의 1일 평균임금은 156,360원【 = 14,228,764원[= 11,843,700원(= 퇴직 전 3개월 평균 월급 3,947,900원 × 3개월) 2,385,064원{= 퇴직 전 정기수당 9,540,260원(= 정근수당 3,570,900원 명절휴가비 4,209,480원 맞춤형 복지비 372,980원 성과상여금 1,449,900원) × 3/12개월}] ÷ 91일】이고, 이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퇴직금은 133,726,354원(= 1일 평균임금 156,360원 × 28년 6개월 3일)이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5호증, 을 제1 내지 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부당이득반환의무의 발생

가. 청구원인에 대한 판단 임용행위가 법령에 위배되어 당연무효임에도 계속 근무하여 온 경우 임용시부터 퇴직시까지의 근로는 법률상 원인 없이 제공된 부당이득이므로 임금을 목적으로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여 온 퇴직자에 대하여 퇴직급여 중 적어도 근로기준법상 퇴직금에 상당하는 금액은 그가 재직기간 중 제공한 근로에 대한 대가로서 지급되어야 한다

(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4다10350 판결 참조). 살피건대, 원고는 당연퇴직된 이후인 1987. 12. 28.부터 2016. 6. 30.까지 공무원으로 계속 근무하면서 피고에게 근로를 제공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