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5.10 2015가단5352077
원상회복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 사실

가.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이하 ‘이 사건 부동산’이라 한다)의 각 50/100 지분에 관하여 2005. 3. 15. 피고와 C 앞으로 각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지고, 2013. 8. 29. 접수 제73598호로 C의 위 50/100 지분에 관하여 2013. 8. 28. 증여를 원인으로 피고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나. 한국주택금융공사 업무수탁기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신청으로 2014. 8. 14.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인천지방법원 B로 부동산임의경매가 개시되었고(경매목적물의 소유자는 피고이다. 이하 ‘이 사건 임의경매’라 한다), 위 법원은 2015. 4. 8. 위 경매의 배당절차에서 잉여금 44,636,812원을 부동산 소유자인 피고에게 배당하는 것으로 배당표를 작성하였다.

다. 한편 원고는 2014. 9. 23. 피고와 C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가단5265473호로 구상금 및 사해행위취소 소송을 제기하였고, 위 법원은 2014. 11. 18. “1. C는 원고에게 30,978,122원과 그 중 30,575,342원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 2.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피고와 C 사이에 2013. 8. 28. 체결된 증여계약을 취소하고, 피고는 C에게 인천지방법원 서인천등기소 2013. 8. 29. 접수 제73598호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는 주문의 판결을 선고하였으며, 위 판결은 2015. 1. 3. 확정되었다

(이하 위 사건을 ‘관련 사건’, 위 판결을 ‘관련 사건 판결’이라 한다). [인정 근거] 갑 제1 내지 4호증, 제7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가. 원고의 주장 관련 사건에서 피고와 C 사이에 이 사건 부동산의 1/2 지분에 관하여 체결된 증여계약을 취소하고, 피고는 C에게 위 증여계약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는 판결이 확정되었으나, 그 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