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서울남부지방법원 2013.02.01 2012노1555
무고
주문

피고인들과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원심의 판단과 항소이유의 요지

가. 기초사실 원심과 당심이 적법하게 채택조사한 증거에 의하면, 다음의 사실이 인정된다.

⑴ ① 이 사건 당시 피고인들은 같은 신학대학원에 다니면서 피고인 H는 학생회 회장, 피고인 A는 학생회 총무로 일하고 있었다.

② J은 서울 구로구 E 식당을 운영하는 사람이고, K은 그 남편이다.

③ G, D은 당시 서울구로경찰서 C지구대에서 근무하던 경찰관이다.

⑵ 피고인 A는 2011. 3. 17. 22:00경 E 식당에서 식사를 하면서 소주 1명 반 정도를 마시던 중 식당에서 반찬을 재활용한다고 항의하는 과정에서 소주병과 접시를 바닥에 집어던지는 등 소란을 피우고, J의 남편 K에게 ‘아가리 닥쳐라’라는 등의 욕설을 하였다.

G, D은 K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다음 아래와 같은 경위로 피고인 A를 현행범체포하여 수갑을 채우고 순찰차에 태워 C지구대로 온 후, 피고인 A가 배변을 하였다

하자 수갑을 풀어 주었다.

⑶ 피고인 A는 다음날인 2011. 3. 18. 11:30경 구로경찰서 유치장에 비치된 인권침해 면담신청서에 ‘경찰관 D이 이렇다 할 설명도 없이 수갑을 채워 불법체포하고, C지구대 주차장에서 순찰차의 시동을 끈 후 갑자기 진정인을 뒤로 넘어뜨려 수갑을 7회 정도 힘껏 눌러 압박하였고, 이에 신청인이 아프니 그렇게 하지 말라고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신청인의 손목에 채워진 수갑을 세게 눌러 압박하였고, 그 고통으로 신청인의 항문이 열려 배변하게 되었다’는 내용의 이 사건 진정서를 작성하여 구로경찰서 담당 경찰관에게 제출하고, 청문감사관에게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경찰관 D 등이 수갑을 압박한 적이 없다는 등의 해명을 하였음에도 계속하여 같은 취지의 진술을 하였다.

⑷ 피고인 A는 위 사건과...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