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Whether the obligor had the intention of deception at the time of the agreement on division of the inherited property of this case
Summary
Since the agreement on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of this case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a will and thus, it cannot be recognized that the debtor did not recognize that there is a shortage of claims in relation to the joint security of claims in relation to the general creditor.
Related statutes
Article 30 of the National Tax Collection Act
Cases
Seoul Eastern District Court 2018 Gohap106508 Revocation of Fraudulent Act
Plaintiff
Korea
Defendant
OO
Conclusion of Pleadings
Mar. 22, 2019
Imposition of Judgment
April 12, 2019
Text
1. All of the plaintiff's claims are dismissed.
2. The costs of lawsuit shall be borne by the Plaintiff.
Cheong-gu Office
The agreement on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concluded on December 12, 2017 with respect to three shares of 1,392,714,490 won among the defendant and the non-party AAA********1,100,000 per annum from the day following the day this decision became final to day of full payment, shall be revoked within the limit of KRW 1,392,714,490. The defendant shall pay to the plaintiff money calculated at the rate of KRW 1,392,714,490 per annum and the rate of KRW 15 per annum from the day following this decision to the day of full payment.
Reasons
1. Basic facts
A. On November 10, 2015, the Plaintiff notified Nonparty AA of the transfer income tax on the size of 1,703,197,180 won to Nonparty A****Gu*** Dong***-5 large 892.1 square meters. However, AA failed to pay the income tax, which was in arrears of KRW 1,703,197,180 as follows.
B. Nonparty BB, a spouse of AA, died on March 17, 2016, and Nonparty BB’s inheritor was the Defendant, Nonparty CCC, DD, and FF, a spouse of AA and its children. BB’s inherited property***********-1, large 1,972 square meters (hereinafter “the instant real property”).
다. 피고와 AAA, CCC, DDD, FFF은 2017. 12. 12.자로 이 사건 부동산을 피고 소유로 하고, 위 부동산에 설정된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등기과 2015. 11. 10. 접수 제***호로 경료된 근저당권설정등기(채권최고액 30억 원, 채무자 BBB, 근저당권자 소외 @@@ 주식회사)의 피담보채무를 피고가 승계한다는 내용의 상속재산 분할협의서를 작성하였다. 피고는 2017. 12. 13.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였다.
라. 소외 유한회사 ■■은 2017. 12. 20. 위 부동산에 관하여 2017. 10. 18. 매매를
The registration of ownership transfer was completed for reasons.
Facts that there is no ground for recognition, entry in Gap evidence 1 through 4, the purport of the whole pleading, and the purport of the whole pleading
2. Determination as to the cause of action
A. Summary of the plaintiff's assertion
AAA가 이 사건 상속재산분할협의에 의하여 피고로 하여금 이 사건 부동산 중 자신의 지분(11분의 3)을 상속하게 한 것은 채무초과 상태에서 일반채권자의 공동담보를 감소시킨 사해행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위 상속재산분할협의는 이 사건 부동산의 가액5,106,619,820원 중 AAA의 지분에 해당하는 1,392,714,490원의 한도 내에서 취소되어야 하고, 이 사건 부동산이유한회사 ■■에 양도되어 원물반환이 불가능하게 된 이상 피고는 원고에게 가액배상으로서 위 1,392,714,49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지급할 의무가 있다.
B. Determination
1) In a case where a debtor in excess of his/her obligation gives up his/her right to his/her share in inherited property while holding a divided agreement on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and thus the joint collateral against the general creditor has decreased, in principle, it constitutes a fraudulent act against the creditor (see Supreme Court Decision 2007Da29119, Jul. 26, 2007). Meanwhile, in principle, the creditor bears the burden of proving the debtor's intent to commit fraud, but the debtor's intent to commit a fraudulent act against the creditor, barring any special circumstance, as it is presumed that the debtor's act of transferring his/her own real property to another person without compensation is a fraudulent act against the creditor (see Supreme Court Decision 2000Da41875, Apr.
2) 그런데 이 사건의 경우, 을 제1 내지 4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① 피고, AAA, CCC, DDD, FFF은 BBB가 사망한 후 2016. 7. 22. 이 사건 부동산을 유한회사 ■■에게 매도하는 내용의 매매계약(이하 위 매매계약 및 향후 변경계약을 모두 통칭하여 '이 사건 매매계약')을 체결하되, 매도인의 명의를 피고로 하였던 사실, ② BBB가 작성한 유언증서의 개봉 및 검인이 2016. 8. 22. 대전가정법원 2016느단592호로 이루어졌는데, 그 유언(이하 '이 사건 유언')의 내용은 BBB의 모든 재산을 FFF이 상속한다는 것이었던 사실, ③ 위 유언증서가 발견됨에 따라FFF과 유한회사 ■■은 2016. 9. 22. 이 사건 매매계약상 매도인의 명의를 FFF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변경계약을 체결한 사실, ④ 그 후 피고와 유한회사 ■■이 2017. 10. 18. 위 매매계약상 매도인의 명의를 피고로 다시 변경하는 내용의 변경계약을 체결한 사실, ⑤ 유한회사 ■■은 2017. 12. 12. 자신이 위 매매계약상 잔금을 대출받는데 있어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자신의 요청으로 위 ④와 같이 매매계약상 매도인의 명의를 변경하게 된 것이라는 내용의 확인서를 작성한 사실을 각 인정할 수 있다. 위 각 인정 사실을 종합하여 보면, AAA를 비롯한 BBB의 법정상속인들은 이사건 부동산의 유일한 상속인이 FFF이라는 판단하에 이 사건 매매계약 이행을 위하여 매도인인 피고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칠 필요가 있어 편의상 이 사건 상속재산분할협의서를 작성한 것으로 보이고, 이와 달리 AAA가 자신이 이 사건 부동산의 상속인이라는 인식에 따라 위 상속재산분할협의서를 작성한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deem that AA had no intention to do so, since at the time of the agreement on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in this case, it did not recognize that there was a shortage of joint security in relation to the general creditor by the agreement on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3) As to this, the Plaintiff asserts that the instant will has no effect since it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Article 1069 or 1071 of the Civil Act. According to the evidence No. 1 of this case, the instant will is not sealed, but it is recognized that the instant will has obtained the fixed date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and that BB did not have obtained the address on the written will. Thus, the said will may be deemed null and void on the ground that the said will does not meet the formalities of the will by a secret document under Article 1069 of the Civil Act or by a self-certificate under Article 1071 of the Civil Act.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evidence, it can be acknowledged that there was no special objection as to the fact that BB’s heir, including AA, directly prepared the instant will and its content was due to the genuine will of BB, and therefore, AA without any special knowledge on law, could not be acknowledged as being the only heir of BB based on the above FB’s will’s belief that the instant will was null and void.
그 외에 원고가 내세우는 바와 같은 이 사건 매매계약의 체결 및 진행 경위, 이 사건 유언 이후 상속인들의 태도와 관련된 사정들(이 사건 매매계약상 중도금 약정이 없는 점, 피고 측이유한회사 ■■의 매매대금 지급기한을 장기간 연장하여 준 점, 이 사건 유언증서가 발견된 이후 FFF 외의 다른 법정상속인들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점, 피고 측이 이 사건 부동산을 급하게 처분하려 했다는 점 등)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사정만으로는 AAA의 사해의사를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증거가 없다[오히려 상속의 포기는 민법 제406조 제1항에서 정하는 "재산권에 관한 법률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하여 사해행위취소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바(대법원 2011. 6. 9. 선고 2011다29307 판결 참조), AAA가 자신이 BBB의 상속인이 되었다고 인식하여 이 사건 부동산의 지분 상속에 관한 권리를 포기하고자 하였다면 단순히 상속을포기하는 방법을 선택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4) Therefore, the Plaintiff’s assertion cannot be accepted without need for further review.
3. Conclusion
Therefore, all of the plaintiff's claims are dismissed as it is without merit. It is so decided as per Dis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