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8.09.13 2015다205420
부당이득금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신고납부방식의 조세는 원칙적으로 납세의무자가 스스로 과세표준과 세액을 정하여 신고하는 행위에 의하여 납세의무가 구체적으로 확정되고, 그 납부행위는 신고에 의하여 확정된 구체적 납세의무의 이행으로 하는 것이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그와 같이 확정된 조세채권에 기하여 납부된 세액을 보유한다.

납세의무자의 신고행위가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로 인하여 당연무효로 되지 아니하는 한 그것이 바로 부당이득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여기에서 신고행위의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하여 당연무효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신고행위의 근거가 되는 법규의 목적, 의미, 기능 및 하자 있는 신고행위에 대한 법적 구제수단 등을 목적론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신고행위에 이르게 된 구체적 사정을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원 1995. 12. 5. 선고 94다60363 판결,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6다81257 판결 등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다음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가.

주식회사 도원레이크는 2007. 4. 13. 케이비부동산신탁 주식회사(이하 ‘케이비신탁’이라 한다)와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케이비신탁을 수탁자로, 파산자 주식회사 솔로몬저축은행(이하 ‘솔로몬저축은행’이라 한다)을 신탁원본의 우선수익자로 하는 이 사건 담보신탁계약을 체결하고, 케이비신탁 앞으로 신탁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다.

나. 케이비신탁은 이 사건 부동산을 매각하기 위하여 일반경쟁입찰(공매)을 진행하였으나 그 절차에서는 위 부동산이 매각되지 아니하였다.

솔로몬저축은행은 케이비신탁에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수의계약을 요청하여, 2008. 12. 6. 케이비신탁과 위 부동산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