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2.11.09 2012노2247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알선수재)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사실오인 1) 일부 금원의 수수 여부 피고인은 H로부터 원심판결 별지 범죄일람표2(이하 ‘범죄일람표’라고만 한다

) 순번 10, 14~20의 돈을 받은 사실이 없는데도, 피고인이 위 부분의 돈을 모두 받은 것으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은 사실을 오인한 것으로서 위법하다. 2) 수수 금원이 알선 명목인지 여부 피고인이 H로부터 범죄일람표 순번 1~9, 11~13, 21 기재와 같이 돈을 받은 것은 사실이나 순번 1~9, 11~13 기재의 돈은 피고인이 H에게 장차 도시계획도로가 입안될 가능성이 큰 장소인 I을 소개하여 준 대가로 받은 것이고, 순번 21 기재의 돈은 피고인이 2007. 1. 4. H에게 빌려 주었던 1,000만 원 중 일부를 반환받은 것일 뿐이다.

그런데도 원심은 위 돈 전부를 공무원에게 알선하여 준다는 명목으로 받은 것으로 인정하였는바, 이는 사실을 오인한 것으로서 위법하다.

나. 공소시효의 완성(예비적 주장)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고인이 금품수수를 인정한 부분에 관하여 유죄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이 H로부터 마지막으로 금품을 수수한 것은 2006. 10. 4.인데, 그로부터 공소시효 5년이 경과한 2012. 1. 13. 이 사건에 관하여 공소가 제기되었으므로 공소시효가 완성되어 면소판결이 선고되어야 한다.

2. 판단

가. 사실오인 주장에 관하여 1 일부 금원 수수 여부에 관하여 원심은, H가 원심 법정에서 피고인에게 금원을 교부한 횟수나 그 액수에 관하여 불확실한 진술을 한 것은 사실이나, H가 수사기관에서 매년 명절 및 여름휴가철을 사전에 파악하여 피고인에게 떡값 및 휴가비를 지속적으로 교부하던 당시의 상황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억하여 과장 없이 진술하고 있는 점 등을 기초로 피고인이 H로부터 범죄일람표 기재 각 금원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