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5.12.10 2013가합48833
손해배상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 사실

가. 원고는 2004년경 남한과 북한의 합의에 따라서 북한의 개성지역 일대에 개발조성된 개성공업지구에 입주하여 위 지구 B에 있는 철골조 2층 공장건물 3,738.87㎡(이하 ‘이 사건 공장’이라 한다)에서 주방기구 제조업을 영위하여 왔다.

나. 2010. 12. 24. 01:30경 이 사건 공장 내 탈의실로 사용하는 2층 8평 규모의 컨테이너에서 근로자들이 전기장판을 켜놓은 채 퇴근한 후 전기장판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하 ‘이 사건 화재’라 한다). 다.

이 사건 공장의 경비원은 02:20경 이 사건 공장에서 500m 정도 떨어져 있는 개성공업지구 내 소방서(이하 ‘이 사건 소방서’라 한다)에 화재신고를 하였고, 화재 신고를 받은 남한 소방관 1명, 북한 소방대원 9명이 소방지휘차, 소방펌프차(3,500ℓ), 소방물탱크차(10,000ℓ)를 타고 화재 현장으로 이동하여 진화 활동을 하였고 2010. 12. 24. 08:00경 완전히 진화되었으나, 그 과정에서 불이 공장건물 중 2층 1,908㎡ 전체와 1층 일부 150㎡로 옮겨 붙어 공장 내부에 설치된 일부 기계, 적재되어 있던 완제품 및 반제품과 원부자재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1 내지 4호증, 을 1, 3, 4, 9호증(각 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주장 요지

가. 개성공업지구의 소방시설의 설치, 관리 및 감독은 개성공업지구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개성공업지구법’이라 한다)에 의하여 설치된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공단관리부의 업무이고, 역시 개성공업지구법에 의해 설립된 개성공업지원재단은 위 위원회를 감독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통일부장관은 통일부 산하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을 통해 위 위원회 및 재단을 지도감독할 권한이 있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