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창원지방법원 2017.07.11 2017구단10044
공상군경비대상결정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원고는 1990. 1. 9. 육군에 입대하여 1992. 7. 9. 병장으로 만기 전역하였다.

그 후 원고는 군 복무 중에 신병교육대에서 교육훈련을 받다가 ‘우측 주상골 골절(제2중수골 돌출 제거술)’의 상이(이하 ‘이 사건 상이’라 한다)를 입었다고 주장하면서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을 하여 2010. 12. 8.경 피고로부터 이 사건 상이가 공상군경 요건에 해당한다는 결정을 받았는데, 이후 피고로부터 부산보훈병원의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이 사건 상이가 상이등급 기준에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받았다.

원고는 2015. 11. 27. 이 사건 상이에 대하여 다시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을 하였는데, 피고는 이 사건 상이가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유공자법’이라 한다)의 공상군경 요건에는 해당하지만 부산보훈병원에서 2016. 10. 26. 실시된 재확인신체검사 결과와 보훈심사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국가유공자법 시행령 제14조 제3항 [별표 3]의 상이등급 기준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2016. 12. 5. 원고에 대하여 공상군경 비대상자로 결정하는 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하였다.

[인정근거] 갑 제1호증, 을 제1, 2, 4, 5호증의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원고는 이 사건 상이로 인하여 우측 손목관절의 운동가능영역이 1/4 이상 제한된 상태이고, 이는 국가유공자법 시행령 제14조 제3항 [별표 3]의 팔 및 손가락의 장애 중 상이등급 7급에 해당하므로, 이와 달리 보아 이루어진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나. 관계 법령 별지 관계 법령 기재와 같다.

다. 판단 국가유공자법 시행령 제14조 제3항 [별표 3], 국가유공자법 시행규칙 제8조의3 [별표 4] 등에 의하면, 이 사건 상이로 인한 원고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