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20.11.05 2018고단537
병역법위반
주문

피고인은 무죄.

이유

1. 이 사건 공소사실 피고인은 현역입영 대상자이다.

현역입영통지서를 받은 현역입영 대상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입영일로부터 3일 이내에 입영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7. 9. 22. 대구 수성구 B아파트 C호에 있는 피고인의 주거지에서 ‘2017. 10. 23. 육군훈련소로 입영하라’는 내용의 입영통지서를 직접 받았음에도 정당한 사유 없이 입영일로부터 3일이 지나도 입영하지 아니하였다.

2. 피고인의 주장 피고인은 D종교단체 신도로서 종교적 양심에 따라 현역입영을 거부하였으므로 병역법 제88조 제1항 본문이 규정하는 '정당한 사유'가 있다.

3. 판단

가.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병역의무의 이행을 일률적으로 강제하고 그 불이행에 대하여 형사처벌 등 제재를 하는 것은 양심의 자유를 비롯한 헌법상 기본권 보장체계와 전체 법질서에 비추어 타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수자에 대한 관용과 포용이라는 자유민주주의 정신에도 위배된다.

따라서 진정한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라면, 이는 병역법 제88조 제1항의 ‘정당한 사유’에 해당한다.

양심적 병역거부를 주장하는 피고인은 자신의 병역거부가 그에 따라 행동하지 않고서는 인격적 존재가치가 파멸되고 말 것이라는 절박하고 구체적인 양심에 따른 것이며 그 양심이 깊고 확고하며 진실한 것이라는 사실의 존재를 수긍할 만한 소명자료를 제시하고, 검사는 제시된 자료의 신빙성을 탄핵하는 방법으로 진정한 양심의 부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

이때 병역거부자가 제시해야 할 소명자료는 적어도 검사가 그에 기초하여 정당한 사유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구체성을 갖추어야 한다

(대법원 2018. 11. 1. 선고 2016도10912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