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9.09.25 2019다211706
손해배상(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원심은 제1심판결 이유를 인용하여, 이 사건 임대차계약에 따른 임대차기간은 6년으로서 원고가 그 종료 무렵 피고에게 임대차계약의 갱신을 요구할 수 없었던 이상,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를 규정한 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2018. 10. 16. 법률 제157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상가임대차법’이라고 한다) 제10조의4 제1항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고, 설령 피고가 위 규정에 의하여 원고의 권리금 회수를 방해하여서는 안 되는 의무를 부담한다고 보더라도, E 자산관리사 또는 F 본사를 신규임차인으로 하는 임대차계약과 관련하여 현저히 고액의 차임과 보증금을 요구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그 계약 체결을 거절하는 등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 제1항 제3, 4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것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의 원고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부정하였다.

2.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의 문언과 내용, 입법취지에 비추어 보면,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 제2항에 따라 최초의 임대차기간을 포함한 전체 임대차기간이 5년을 초과하여 임차인이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임대인은 같은 법 제10조의4 제1항에 따른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를 부담한다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7다225312(본소), 2017다225329(반소) 판결 참조].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 제1항이 임대차기간이 5년이 지나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계약갱신요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데에는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