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 2016.12.16 2016가단506309
대여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당사자들의 주장

가. 원고의 주장 원고는 2011. 9.경 피고로부터 전남 영암군 C 및 D 토지가 경매절차 진행 중인데 이를 피고가 매수할 예정이고, 1억 원을 빌려주면 1개월 내에 원금을 돌려주고 이익금을 주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래서 원고는 2011. 11. 17. 5,000만 원, 2011. 11. 21. 5,000만 원 합계 1억 원을 빌려주었다.

그런데 피고는 그 중 1,250만 원만 원고에게 반환하고 나머지 8,750만 원을 돌려주지 않았다.

그래서 원고는 2012. 6. 28. 현금보관증이라도 써달라고 요구하였는데, 피고가 투자합의서(갑 제2호증)을 작성하여 주었고, 원고는 투자합의서의 의미를 알지 못한 채 현금보관증의 의미로 받은 것이다.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1억 원에서 이미 변제한 1,250만 원을 공제한 나머지 8,750만 원 및 이에 대하여 변제약정일 후로써 원고가 구하는 2012. 1. 1.부터 다 갚는 날까지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나. 피고의 주장 원고가 피고에게 지급한 1억 원은 대여금이 아닌 투자금이다.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한 돈은 1,250만 원이 아니라 2,050만 원이고, 이는 피고가 원고에게 대여한 것이며, 그 중 800만 원은 변제받았기 때문에 피고는 원고로부터 1,250만 원을 받아야 한다.

2. 판단 이 사건의 쟁점은 원고가 피고에게 지급한 돈이 대여금인지 투자금인지 여부이다.

살피건대 갑 제2, 4, 5호증의 각 기재를 종합하면, ① 2012. 5. 18. 작성된 사업배당약정서에 원고가 지급한 1억 원은 ‘자본금’ 란에만 기재되어 있고 ‘배당할 이익금 처리 예상’란에 원고의 이름은 기재가 되어 있지 않은 점, ② 원고는 2012. 6. 27. 피고와 통화하면서 원고를 투자자로 보면서 이익배당에서 원고를 제외시킨 사실에 대해서 추궁하였고, 이에 대해서 피고가"니가 우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