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2015.04.15 2013나13238
손해배상(기)
주문

1. 당심에서 변경되거나 확장된 원고의 청구를 포함하여 제1심 판결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1993. 7. 28.부터 인천 남동구 C 대 533.5㎡(이하 ‘원고 대지’라고 한다)를 소유하고 있고, 피고는 2002. 2. 22.부터 원고 대지에 연접한 위 D 대 660.4㎡(이하 ‘피고 대지’라고 한다)를 소유하고 있다.

나. 원고의 처 I가 2000. 5.경 원고 대지 위에 지상 3층 건물(이하 ‘원고 측 건물’이라고 한다)을 신축하여 2000. 5. 2. 그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고, 그 후인 2002. 12.경 피고가 피고 대지 위에 지하 2층, 지상 10층 건물(이하 ‘피고 건물’이라고 한다)이 신축하여 2002. 12. 12. 그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다. 원고 대지와 피고 대지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각 폭 2.5m 합계 폭 5m, 길이 28.4m의 토지(계쟁 부분 및 별지 2 감정도 표시 6, 7, 8, 9, 10, 11, 12, 6의 각 점을 순차로 연결한 선내의 (ㄴ) 부분 57.2㎡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이 사건 통로’라고 한다)는 1998. 4. 17. E 재정비 승인공고(인천광역시 남동구 공고 F)에 따라 보차혼용통로로 결정되었다가, 2010. 3. 22. G 재정비결정(인천광역시 고시 H)에 따라 보차혼용통로가 폐지되었으며, 이 사건 소 제기 직전인 2012. 2. 24. 도시관리계획(G) 결정(변경, 인천광역시 남동구 고시 N)으로 다시 보차혼용통로로 결정되었다. 라.

피고 건물의 신축이 완료된 후 이 사건 통로는 피고 건물의 지하주차장 출입구와 연결되어 피고 건물을 위한 통행로로만 사용되었고, 이에 원고는 피고가 이 사건 통로를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하여 폭 5m인 이 사건 통로의 중간인 2.5m 부분(원고 대지에 해당하는 부분)에 높이 1.2m, 길이 약 20m에 달하는 철제 휀스를 설치하는 등으로 원고와 피고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게 되었다.

마. 한편 피고는 2002. 12. 12.경 이 사건 (ㄴ) 부분 지하에 피고 건물을 위한 콘크리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