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2018.12.07 2018가단2249
청구이의
주문

1. 피고의 원고에 대한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2016자35 건물명도 사건의 화해조서에 기초한...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2015. 12. 1.경 피고와 사이에 피고가 별지 2 목록 기재 부동산 중 별지 도면 표시 659.73㎡(이하 ‘이 사건 부동산’이라 한다)를 원고에게 보증금 3,000만 원, 차임은 월 350만 원, 기간은 2015. 12. 1.부터 2016. 11. 30.까지로 정하여 임대하는 내용의 계약(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다.

나. 원고는 그 무렵 이 사건 부동산을 인도받아 피트니스 센터를 운영하였다.

다. 피고는 원고를 상대로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 제소전 화해를 신청하여 2016. 6. 20. 별지 1 화해조항과 같은 내용으로 제소전 화해(이하 ‘이 사건 화해조서’라 한다)가 성립되었다. 라.

이후 이 사건 임대차계약은 계약 종료일인 2016. 11. 30.까지 원고와 피고가 갱신을 거절하는 뜻을 표시하지 않음에 따라 2016. 12. 1.경 묵시적으로 갱신되어 임대차 기간이 2017. 11. 30.까지로 1년 연장되었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4, 9 내지 12호증, 을 제3호증의 1 내지 제5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 주장의 요지

가. 원고 이 사건 화해조서의 집행력은 이 사건 임대차계약에만 미치고, 2016. 12. 1. 이후 묵시적으로 갱신된 임대차계약에는 그 집행력이 소멸되어 미치지 않으므로, 묵시적으로 갱신된 임대차계약상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한 피고의 이 사건 화해조서에 기한 강제집행은 불허되어야 한다.

나. 피고 이 사건 화해조서의 집행력은 갱신된 임대차계약에도 미치고, 원고에게 이 사건 화해조서에서 정한 해지사유가 있어 피고가 계약을 해지한 이상 이 사건 화해조서에 기한 피고의 강제집행은 정당하다.

3. 판단

가. 청구이의의 소에서 집행권원이 화해조서인 경우에는 그 조서가 성립한 뒤에 생긴 이의사유만을 주장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