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울산지방법원 2017.01.13 2016노1570
근로기준법위반등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피고인이 수사기관에서 근로자 D에 대한 공소사실 일체를 자백한 점, 검사가 제출한 임금 체불 및 임금지급 지연 확인서, 퇴직금 산정 내역의 각 기재 내용 등에 비추어 보면 D이 피고인이 운영하는 주식회사 L의 근로자 임이 인정된다고 할 것임에도 D에 대한 공소사실을 무죄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에는 사실 오인의 위법이 있다.

2. 판단 살피건대, 원심 및 당 심에서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① D은 주식회사 L가 아닌 주식회사 한성 엠에스와 근로 계약을 체결한 점( 증 제 8호 증), ② D의 건강보험, 국민연금 또한 주식회사 한성 엠에스를 사업장으로 하여 가입되어 있는 점, ③ D에 대한 임금이 주식회사 한성 엠에스 명의로 입금되었고, D은 당 심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여 체불임금 등의 지급을 주식회사 한성 엠에스에 대하여도 요구하였다고

진술한 점( 다만 이에 대해 주식회사 한성 엠에스 측은 D에게 주식회사 L로부터 임금을 받아야 지급해 줄 수 있다고

답변하였다고

진술하였다), ④ 파견 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34조 제 1 항에서 근로 기준법 제 36조의 적용과 관련하여서는 사용사업주가 아닌 파견 사업주를 사업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 점, ⑤ N이 D에게 임금 체불 및 임금지급 지연 확인서를 작성해 준 것은 D이 체당금을 지급 받을 요건이 되는 경우 이를 받을 수 있게 해 주기 위해 서였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D은 피고인이 운영하는 주식회사 L 소속 근로자가 아닌 주식회사 한성 엠에스 소속 근로자로 보이므로, 같은 취지에서 이 부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사실을 오 인한 위법이 없다.

따라서 검사의 위 주장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