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7.09.06 2017구단65428
난민불인정결정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나이지리아 국적의 외국인으로 2016. 7. 6. 대한민국에 입국한 후 2016. 8. 9. 피고에게 난민인정신청을 하였다.

나. 피고는 2016. 8. 25. 원고에게, 원고가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제1조 및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 제1조에서 규정하는 ‘박해를 받게 될 것이라는 충분히 근거 있는 공포’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난민불인정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고 한다)을 하였다.

다. 이에 대하여 원고는 2016. 9. 12. 법무부장관에게 이의신청을 하였으나, 2017. 2. 24. 이의신청이 기각되었다.

[인정근거] 갑 제1 내지 6호증, 을 제1 내지 5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 주장의 요지 원고는 이보(Igbo)족으로, 과거 나이지리아 남동부에서 이보족이 주체가 되어 분리독립을 선언하여 수립되었던 비아프라(Biafra)의 주권을 회복하고자 2015. 8. IPOB(Indigenous People Of Biafra)라는 비아프라 독립운동 조직에 가입하여 비아프라 리더의 석방을 요구하고 두 차례 시위에 참가하는 등 정치적인 활동을 하였다.

원고는 그 때문에 정부의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또한 원고는 폴라니족으로부터의 위협도 우려된다.

그럼에도 원고를 난민으로 인정하지 아니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나. 판단 1 난민법 제2조 제1호, 제18조, 난민협약 제1조, 난민의정서 제1조의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충분한 근거 있는 공포로 인해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국적국의 보호를 원하지 않는 대한민국 안에 있는 외국인은 난민으로 인정하여야 하고, 난민 인정의 요건이 되는 ‘박해’는 '생명, 신체 또는 자유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