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울산지방법원 2013.02.22 2012노450
공인중개사의업무및부동산거래신고에관한법률위반
주문

피고인들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사실오인 내지 법리오해 (1) 원심 판시 제1의 가.

항 및 제2항의 점(피고인들) 피고인 A는 울산 울주군 G건물 102동 1502호에 관한 매매계약 중개 당시 중개보조원으로서 위 매매계약 체결과정에 보조하여 관여하였을 뿐 중개의뢰인인 E에게 D공인중개사의 공인중개사라고 칭하거나 명함을 준 사실이 없고 위 매매계약서에 공인중개사인 피고인 B의 서명날인을 한 사실이 없으며, 피고인 B 역시 위 매매계약 중개 당시 피고인 A로부터 위 부동산에 관한 매매계약서의 결재를 요청받고 직접 매매계약서에 서명날인을 하는 등 실질적으로 공인중개사로서의 업무를 수행하였음에도 원심은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원심 판시 제1의 나.

항의 점(피고인 A) 피고인은 위 G건물 102동 109호에 관하여 E으로부터 중개의뢰를 받거나 중개수수료를 지급받은 사실이 없고 단지 피고인의 둘째 아들 H에게 증여할 목적으로 매수인을 H으로 하여 H의 대리인 자격으로 위 부동산에 관한 매매계약을 체결한 것일 뿐이므로 중개업자 등이 중개의뢰인과 직접 거래를 한 것이 아니고, 또 위 부동산은 같은 사무실에 근무하는 중개보조인 J가 중개의뢰받은 부동산으로 피고인이 중개의뢰받은 바 없으므로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6호에서 규정하는 중개업자 등이 중개의뢰인과 직접 거래한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공인중개사법 제33조 제6호 소정의 ‘중개업자 등’의 범위에 중개의뢰를 받은 바 없는 중개보조인까지 포함하여 해석하는 것은 형벌규정의 유추해석의 원칙에 반한다고 할 것임에도 원심은 이 부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