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전주지방법원 2019.07.18 2019노570
모욕등
Text

The defendant's appeal is dismissed.

Reasons

1. Summary of grounds for appeal;

A. In light of the legal principles, the Defendant recognized that the victim, who is a police officer, took a bath against the victim D. However, at the time, the victim took a bath against the victim’s attempt to proceed with the Defendant without notifying the right to refuse to make a statement. Therefore, the Defendant did not have an intention to insult the victim.

Since the defendant merely expressed his/her desire without expression of specific facts,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evaluation of the value of the victim's personal value may be lowered.

In addition, since one police officer and only a taxi engineer were involved in the field, the crime of insult is not established due to lack of performance.

Nevertheless, the lower court erred by misapprehending the legal doctrine regarding the facts charged of this case, thereby adversely affecting the conclusion of the judgment.

B. The lower court’s sentence of unreasonable sentencing (two months of imprisonment and fine of one hundred thousand won) is too unreasonable.

2. Determination

가. 법리오해 주장에 관한 판단 1) 피고인의 욕설이 모욕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에 관한 판단 모욕죄에서 말하는 모욕이란 사실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대법원 2008. 8. 21. 선고 2008도2025 판결 등 참조). 따라서 구체적 사실 적시를 하지 않았더라도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였다면, 모욕죄의 성립 인정에 아무런 장애가 없다.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한 욕설, 즉 “짭새 새끼”, “개새끼”라는 표현은 그 자체로 피해자를 비하하여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서 모욕적 언사에 해당한다. 나아가 피고인이 그 표현을 하게 된 경위(피해자가 ‘택시비를 지불하고 귀가하라’고 권고하자, 피고인이 현금을 바닥에 집어 던지고 ‘주워가라’며 위와 같이 욕설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