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서울고등법원 2019.11.14 2019노1626
강도상해
주문

피고인들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사실오인 및 법리오해(피고인들) 1) 피고인 A 피고인 A은 강도 범행을 공모하였을 뿐, 강도상해 범행을 공모하지 않았다. 2) 피고인 B 가) 피고인 B에게는 피해자로부터 가방을 강취하기 위해 피해자를 폭행한다는 고의가 있었을 뿐, 피해자에게 상해를 가한다는 고의는 없었다. 나) 피고인 B의 폭행으로 인해 피해자에게 강도상해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한다고 볼 만한 상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다) 원심이 피고인 B에 대해 자수 감경을 하지 않은 것은 위법하다. 3) 피고인 C 가) 피고인 C은 피고인 A, B이 위조지폐를 이용해 피해자로부터 상품권을 편취한다기에 그런 줄 알고 이들을 따라나섰을 뿐, 강도 또는 강도상해의 범행에 가공한다는 인식이 없었고, 따라서 강도 또는 강도상해 범행의 계획 수립이나 실행에는 전혀 가담하지 않았다. 나) 설령 피고인 C이 강도상해 범행에 가담한 것으로 인정되더라도, 그 가담 정도에 비추어 방조범으로 처벌되어야 한다.

나. 양형부당(피고인 A, B) 원심이 피고인 A, B에게 선고한 형(각 징역 3년 6월)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피고인들의 사실오인 및 법리오해 주장에 관하여 1) 피고인 A 가) 강도의 공범 중 1인이 강도 범행의 수단으로 폭행협박을 가하여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게 한 때에는, 폭행협박을 가하지 않은 공범도 다른 공범이 강도 범행의 수단인 폭행협박을 행사하리라는 것을 당연히 인식하고 있었다

할 것이고, 강도 범행의 수단으로 행사되는 폭행협박의 기회에 상해의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은 누구나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할 것이므로, 강도의 공범 1인이 다른 공범의 폭행협박에 의한 상해의 발생을 인식하였다면 강도상해죄의 공동정범 책임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