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Whether land annexed to an unauthorized building is subject to taxation;
Summary
Since the purpose of legislation of the Land Excess Profit Tax Act is to use land efficiently, it is reason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and annexed to the permitted building exceeds the tax exemption standard for the factory site under the Land Excess Profit Tax Act in determining idle land without permission.
The decision
The contents of the decision shall be the same as attached.
Text
The disposition of imposition of KRW 35,102,360 against the plaintiff as of November 16, 1991 by the defendant shall be revoked. The costs of the lawsuit shall be borne by the defendant.
Reasons
1. Details of the imposition;
원고가 ㅇㅇ시 ㅇㅇ구 ㅇㅇ동 498의 1 외 7필지 대지 2,009제곱미터 및 그 지상 건물 1,667.23제곱미터(허가부분: 888.98제곱미터, 무허가 부분 778.25제곱미터)를 소유하고 있는바, 피고는 이에 대하여 무허가 건물의 부속토지는 토지초과이득세의 과세대상토지라고 하여 위 대지 면적 중 도로부분 면적 289.3제곱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 1,720.4제곱미터를 기준으로 하여 위 무허가 건물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로 안분산출한 토지면적 820.6제곱미터(1,720.4 × 778.25 / 1,667.23)에 대하여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제1항제4호 다목 소정의 유휴토지에 해당한다고 보고 1991. 11. 16. 주문 기재와 같은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고지한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다.
2. Whether the disposition of imposition is lawful.
The plaintiff argues that it is illegal to impose land excess profit tax on the site area of this case, even though only the building area which has obtained effective permission except the building area of the above building without permission, because it is not subject to land excess profit tax, it is unfair to separate the unauthorized part from the land area. Second, since the building area of the building without permission is registered in the building ledger of the competent Gu office and the property tax on the building has been continuously paid under the Local Tax Act, it is illegal to impose land excess profit tax.
Article 8 (1) 1 of the Land Excess Profit Tax Act provides that land exceeding the standard area of factory sites as prescribed by the Presidential Decree, which is land annexed to a factory building, shall be deemed one of idle land, and Article 7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provides that "building for factory" means all buildings necessary for manufacturing, processing, repairing, printing, etc. of goods and its appurtenant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within the boundary area of a place equipped with equipment to be used for manufacturing, processing, repairing, printing, etc. of goods for business purposes except without permission, and the basic area of factory sites shall be calculated by applying mutatis mutandis the provisions on the standard area of factory sites under Article 85-4 (3) 6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Local Tax Act. According to Article 46-5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the basic area in Article 84-4 (3) 6 of the same Act provides that "standard area in the attached Table 4 refers to the basic area of the factory site, and the basic area of the factory site shall be excluded from total floor area and all factory buildings without permission.
그런데 을제3호증, 을제4호증, 을제5호증, 을제6호증, 을제7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의 전취지를 보태어 보면, 원고는 ㅇㅇ시 ㅇㅇ구 ㅇㅇ동 498의 1 외 6필지 토지를 취득하여 1966. 3. 25. 경 그 지상에 건물을 신축하여 ㅇㅇ전기공업사라는 상호로 전선제조업을 영위하다가 1974년 경 ㅇㅇ공업단지로 이전한 후 1983. 6. 30. ㅇㅇ전선공업주식회사로 법인전환하고 전선 조명기구제조업을 영위함에 있어서 공장 건물이 협소하여 증축을 하고자 하였으나 도시계획상 공장이전 촉진지역이므로 관할관청의 허가를 얻지 못하여 부득이 허가건물에 이어서 무허가건물 778.25제곱미터를 신축하여 이를 제품하치장으로 사용하여 오고 있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이에 의하면 위 공장 건물 중 허가 부분은 888.98제곱미터으로서 이를 토대로 하여 위 각 규정에 따라 공장입지기준면적을 계산하여 보면 2,222.45제곱미터(888.98/0.4 이 사건 공장의 품목별기준공장면적율은 40퍼센트이다)가 되므로 결국 이 사건 전체 공장용 토지 면적 2,009.7제곱미터는 위 공장입지기준면적 이내가 되어 이 사건 공장 토지면적 전체가 토지초과이득세의 부과 대상 토지에 해당되지 아니한다 할것이므로 설령 이 사건 공장 토지 위에 위와 같은 무허가 건물 부분이 있다 하더라도 이를 허가받은 건물 부분과 분리하여 전체 공장면적 중 무허가 건축물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안분하여 그 부분에 해당하는 공장면적에 대하여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할 것은 아니므로(토지의 효율적인 이용 등을 목적으로 하여 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의 취지에서 볼 때에도 허가된 건축물에 연이어 무허가 건축물을 신축하여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토지를 좀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되므로 유휴토지를 판정함에 있어서 무허가 건축물이 없는 것을 보아 허가된 건축물의 부속토지가 토지초과이득세법 소정의 공장입지기준면적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이와는 반대의 취지에서 전체 공장 면적 중 무허가 건물 부분에 해당되는 대지 부분에 대하여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한 피고의 처분은 위법하다 할 것이다.
3. Conclusion
Therefore, the plaintiff's claim of this case seeking revocation is legitimate because the above disposition by the defendant is unlawful, and it is so decided as per Dis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