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광주지방법원 2018.11.20 2018노1577
도로교통법위반(음주측정거부)
Text

The defendant's appeal is dismissed.

Reasons

1. The summary of the grounds for appeal (misunderstanding of facts) did not refuse a police officer’s measurement of drinking, and instead responded to a police officer’s measurement of drinking.

Nevertheless,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which judged otherwise and found the defendant guilty of the facts charged of this case is erroneous in fact.

2. Determination

A. The phrase “cases of failing to comply with a police officer’s measurement” under Article 148-2 subparag. 2 of the Road Traffic Act mean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in light of the overall progress of the case.

a driver who has a reasonable reason to be appointed is objectively and objectively deemed to have no intention to respond to the measurement of drinking.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a driver i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should be understood as a measurement by the respiratory measuring instrument, namely, the method of objectively converting the degree of the driver's practice from the pulmonary test, and the voluntary cooperation of the driver is essential.

따라서 운전자가 음주 측정을 요구 받고 호흡 측정기에 숨을 내쉬는 시늉만 하는 등 형식적으로 음주 측정에 응하였을 뿐 경찰공무원의 거듭 된 요구에도 불구하고 호흡 측정기에 음주 측정 수치가 나타날 정도로 숨을 제대로 불어넣지 아니하는 등 음주 측정을 소극적으로 거부한 경우라면 소극적 거부행위가 일정 시간 계속적으로 반복되어 운전자의 측정 불응의 사가 객관적으로 명백하다 고 인정되는 때에 비로소 음주 측정 불응죄가 성립한다( 대법원 2000. 4. 21. 선고 99도 5210 판결, 대법원 2015. 12. 24. 선고 2013도 8481 판결 등 참조). 그리고 경찰공무원이 음주 여부나 주 취 정도를 측정하는 경우 합리적으로 필요한 한도 내에서 그 측정 방법이나 측정 횟수에 관하여 어느 정도 재량을 갖는다(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6도 16121 판결 등 참조). 나. 구체적인 판단...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