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21.04.01 2020가단17754
배당이의
주문

대구지방법원 D(E( 중복)) 부동산 임의 경매사건에 관하여 법원이 2020. 11. 2. 작성한 배당표...

이유

1. 피고 C에 대하여

가. 청구의 표시: 별지 청구원인 기재와 같다( 그 중 피고 C에 대한 부분만). 나. 자백 간주 판결, 민사 소송법 제 208조 제 3 항 제 2호, 제 150조 제 3 항에 따라 자세한 이유 기재는 생략함. 2. 피고 B 조합에 대하여 원고는 이 사건 청구원인으로 별지 청구원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주장한다.

그런 데 주택 임대차 보호법 제 3조 제 1 항에서 주택의 인도와 더불어 대항력의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은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임대차의 존재를 제 3자가 명백히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공시방법으로 마련된 것이므로, 주민등록이 어떤 임대차를 공시하는 효력이 있는 가의 여부는 일반 사회 통념상 그 주민등록으로 당해 임대차건물에 임차인이 주소 또는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원고

주장에 의하면, 아직 사용 승인을 받지 못하여 건축물 대장이 작성되지 못한 다세대주택의 1 세대 (3 층 F 호 )를 임차하게 된 원고가,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하면서 건축물 대장이 작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호실 번호를 특정하여 전입신고를 할 수 없다는 공무원의 설명에 따라 부득이 하게 자신이 임차한 세대의 호실 번호를 특정하여 기재하지 못한 채 다세대주택의 지 번만으로 전입신고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 데 다세대주택의 지 번만으로 표시된 전입신고로는 제 3자가 특정 세대 (3 층 F 호 )에 임차인이 주소 또는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식할 수가 없는 것이므로, 그 주민등록은 그 임대 차의 공시방법으로서 유효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대법원 2000. 4. 7. 선고 99다66212 판결 참조). 따라서 그 같은 주민등록이 원고 가 임차한 특정 세대 (3 층 F 호 )에 대한 유효한 공시방법에 해당함을 전제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