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2016.04.27 2015고단2944
부당이득
주문

피고인은 무죄. 피고인에 대한 판결의 요지를 공시한다.

이유

1. 공소사실의 요지 피해자 D, E는 부천시 소사구 F에 있는 건물( 이하 ‘ 이 사건 건물’ 이라 함) 의 소유자이고, 피고인은 2012. 8. 25. 경부터 기한의 정함 없이 위 건물의 1 층 중 약 26.4제곱미터( 이하 ‘ 이 사건 점포’ 라 함 )를 보증금 100만 원, 월 차임 25만 원에 임차하면서, 피해자들이 위 건물을 매도할 경우 즉시 인도하기로 약정한 임차인이다.

피해자들은 2015. 3. 9. 경 위 건물을 G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동시에 H, I의 주택을 매수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므로, 위 G으로부터 잔금을 지급 받는 2015. 6. 25.까지 임차인이 없는 상태로 인도해야 할 의무가 있었고, 위 의무를 위반할 경우 이미 G으로부터 지급 받은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여야 하고, 동시에 위 H, I에 대한 계약 또한 이행하지 못하게 되어 위 두 사람에게 지급한 계약금을 반환 받지 못하는 등의 손해가 발생하므로, 피해자들은 피고인에게 퇴거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피고인은 피해자들의 위와 같은 상황을 알고서 과도한 이익을 얻고자 2015. 6. 24. 합의 금 명목으로 보증금 100만 원의 200 배인 2억 원을 부당하게 요구하여 같은 달 25. 경 피해자들 로부터 2억 100만 원을 지급 받았다.

이로써 피고인은 피해자들의 궁박한 상태를 이용하여 현저하게 부당한 이익을 취득하였다.

2. 판단

가. 형법 제 349 조에서 정하는 부당이 득죄에 있어서 피해자가 궁박한 상태에 있었는지, 행위자가 그 궁 박을 이용하여 현저하게 부당한 이익을 취득하였는지 등은 당사자의 신분과 상호 간의 관계, 피해자가 처한 상황의 절박성의 정도, 계약의 체결을 둘러싼 협상과정 및 거래를 통한 피해자의 이익, 피해자가 그 거래를 통해 추구하고자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대안의 존재 여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