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02.06 2018노399
강제추행등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을 징역 8개월에 처한다.

다만, 이 판결 확정일로부터 2년간 위...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사실오인(검사)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이 공소사실 기재 강제추행 행위를 하였음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원심은 사실을 오인하여 이와 다른 전제에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강제추행의 점에 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나. 심신장애(피고인) 피고인은 범행 당시 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 상태에 있었다.

다. 양형부당(쌍방) 원심이 선고한 형(벌금 200만 원)은 가볍거나(검사) 무거워서(피고인) 부당하다.

2. 판단

가. 검사의 사실오인 주장에 관한 판단 1) 법리 법원은 공소사실을 뒷받침하는 피해자 등의 진술의 신빙성 유무를 판단할 때에, 진술 내용 자체의 합리성논리성모순 또는 경험칙 부합 여부나 물증 또는 제3자의 진술과의 부합 여부 등은 물론, 법관의 면전에서 선서한 후 공개된 법정에서 진술에 임하고 있는 증인의 모습이나 태도, 진술의 뉘앙스 등 증인신문조서에는 기록하기 어려운 여러 사정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얻게 된 심증까지 모두 고려하여 신빙성 유무를 평가하게 되고, 피해자의 진술이 대체로 일관되고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경우 객관적으로 보아 도저히 신빙성이 없다고 볼 만한 별도의 신빙성 있는 자료가 없는 한 이를 함부로 배척하여서는 안 된다(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2도2631 판결 등 참조 . 또한 피해자 등의 진술은 그 진술 내용의 주요한 부분이 일관되며, 경험칙에 비추어 비합리적이거나 진술 자체로 모순되는 부분이 없고, 또한 허위로 피고인에게 불리한 진술을 할 만한 동기나 이유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이상, 표현상의 차이로 인하여 사소한 부분에 일관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있거나 최초의 단정적인 진술이 다소 불명확한 진술로 바뀌었다고 하여 그 진술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