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남부지방법원 2017.08.22 2017가단215456
정산금 청구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원고 주장의 요지

가.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가합101355 손해배상(기) 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

위 소송은 1심에서 원고 승소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다.

나. 피고가 원고를 상대로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가합1950 공사대금 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

위 소송은 1, 2, 3심(2심은 서울고등법원 2015나2034640, 3심은 대법원 2016다210139)을 거친 끝에 '원고는 피고에게 987,749,137원 및 이에 대하여 2015. 8. 14.부터 2016. 1. 14.까지는 연 6%의,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20%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는 취지의 판결(이하 ’이 사건 판결‘이라 한다)이 확정되었다.

다. 원고의 대리인 C(원고의 남편)과 피고의 대리인 D(피고의 전무이사)은 2016. 8. 17., 원고가 이 사건 판결에 따라 지급하여야 할 금액에서, 원고가 이미 지급하였거나 원고가 이 사건 판결에 따라 지급하여야 할 공사대금 합계액에 포함된 부가가치세액 중 원고가 부가가치세 환급을 받을 수 없게 된 104,171,399원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을 지급하는 것으로 이 사건 판결금 채무를 모두 이행한 것으로 하기로 합의하였다. 라.

위 합의 당시 원고와 피고 사이에 서로 지급하여야 할 소송비용에 관하여도 정산을 하고자 하였다.

원고는 피고에게 원고가 피고로부터 지급받아야 할 소송비용이 30,495,703원임을 알리고 그 내역서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피고는 원고에게 피고가 원고로부터 지급받아야 할 소송비용이 114,571,396원이라고만 말하고 소송비용 내역서를 제공하지 아니하였다.

원고는 D에게 일단 위 114,571,396원을 지급하되 추후 위 114,571,396원의 내역서와 증빙을 제공받아 판결에서 명한 분담비율에 따라 정산하기로 합의하였다.

마. 원고는 2016. 8. 17. 피고와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