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
대법원 2018.10.25 2018도13367

아동ㆍ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위반(알선영업행위등)등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 이유( 상고 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상고 이유 보충서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에서 )를 판단한다.

1. 불이익변경금지원칙 위반 주장

가. (1) 구 「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2018. 1. 16. 법률 제 1535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 56조 제 1 항은 아동 청소년대상 성범죄 또는 성인 대상 성범죄( 이하 ‘ 성범죄’ 라 한다) 로 형 또는 치료 감호를 선고 받아 확정된 자는 그 형 또는 치료 감호의 전부 또는 일부의 집행을 종료하거나 집행이 유예 면제된 날부터 10년 동안 아동 청소년 관련기관 등을 운영하거나 아동 청소년 관련기관 등에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할 수 없다고 정하고 있었다( 이하 ‘ 종전 규정’ 이라 한다). (2) 헌법재판소는 성범죄 전력에 기초하여 어떠한 예외도 없이 일률적으로 10년의 취업제한을 부과한 종전 규정이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위헌결정을 하였다( 헌법재판소 2016. 3. 31. 선고 2013 헌 마 585, 786, 2013 헌바 394, 2015 헌 마 199, 1034, 1107 결정, 헌법재판소 2016. 4. 28. 선고 2015 헌 마 98 결정, 헌법재판소 2016. 7. 28. 선고 2013 헌 마 436 결정, 헌법재판소 2016. 10. 27. 선고 2014 헌 마 709 결정 등 참조). 이에 따라 2018. 1. 16. 법률 제 15352호로 개정된 「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이하 ‘ 개정 법’ 이라 한다) 제 56조 제 1 항( 이하 ‘ 개정규정’ 이라 한다 )에 따르면, 법원은 성범죄로 형 또는 치료 감호를 선고하는 경우에는 그 형 또는 치료 감호의 전부 또는 일부의 집행을 판결로 종료하거나 집행이 유예 면제된 날부터 일정 기간( 이하 ‘ 취업제한 기간’ 이라 한다) 동안 아동 청소년 관련기관 등을 운영하거나 아동 청소년 관련기관 등에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할 수 없도록 하는 명령( 이하 ‘ 취업제한 명령’ 이라 한다) 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