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
수원고등법원 2019.11.21 2019노250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등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검사의 법리오해 주장에 대한 판단(공소기각 부분에 대하여) 주장 불특정 다수로부터 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특성상 피해자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이 부분 공소사실은 유한회사 E 내지 유한회사 G 명의 계좌에 돈이 입금된 시기 및 액수, 입금방법, 거래시 취급은행 코드가 기재되어 있어 범죄사실이 다른 사실과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특정되었다.

그럼에도 이 부분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음을 이유로 공소를 기각한 원심판결에는 공소사실 특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판단

포괄일죄에 있어서는 그 일죄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개의 행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아니하더라도 그 전체 범행의 시기와 종기, 범행방법, 피해자나 상대방, 범행횟수나 피해액의 합계 등을 명시하면 이로써 그 범죄사실은 특정되는 것이라고 할 것이고, 상습사기와 같이 공소범죄의 특성상 개괄적 기재가 불가피한 경우 개별적 사기 범행의 피해자가 특정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기본적 사실관계에 차이가 없고 피고인의 방어권행사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그 공소내용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나(대법원 1999. 11. 12. 선고 99도2934 판결, 2005. 3. 24. 선고 2004도8661 판결 등 참조), 비록 공소범죄의 특성에 비추어 개괄적인 기재가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사실상 피고인의 방어권행사에 지장을 가져오는 경우에는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에서 정하고 있는 구체적인 범죄사실의 기재가 있는 공소장이라고 할 수 없다

(대법원 2000. 11. 24. 선고 2000도2119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피고인이 상습으로 성명불상 보이스피싱 조직원들과 공모하여 2017. 12. 12.경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