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
의료사고
(영문) 대법원 1995. 3. 17. 선고 93다41075 판결

[손해배상(의)][공1995.5.1.(991),1702]

Main Issues

The case holding that it is presumed that a doctor's negligence was caused by a nephal cerebral cerebral cerebral cerebral cerebral pulmonary disease of a patient occurring in the recovery of a general anesthesia for the surgery for the recovery of a doctor's loss

Summary of Judgment

The case holding that, in light of the following facts: (a) A patient's low fertility surgery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recovery after a general anesthesia surgery; (b)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re exists any other cause between the above surgery and the above symptoms; (c) at the time of the first surgery, there was no abnormal symptoms due to general anesthesia; (d) at the time of the first surgery, there was no abnormal disease due to general anesthesia; and (e) there was no possibility that there was a disease from respiratory machines at the time of the second surgery; and (e) there was no special transfer factor that can cause a medical plesy before the surgery; and (e) there is no possibility to find that the patient suffers from pulmonary disease at the time of the second surgery, and (e) there is no other special transfer factor that can cause this plesy before the surgery.

[Reference Provisions]

Articles 390 and 750 of the Civil Act

Reference Cases

Supreme Court Decision 92Da29924 delivered on December 8, 1992 (Gong1993Sang, 431) 92Da15031 delivered on July 27, 1993 (Gong1993Ha, 2381) 93Da52402 delivered on February 10, 1995 (Gong195Sang, 1281) 94Da39567 delivered on March 10, 1995 (Gong195Sang, 1586)

Plaintiff-Appellee

Plaintiff 1 et al., and two others, Counsel for the defendant-appellant in charge of Seongdong-gu et al.

Defendant-Appellant

Defendant Hospital Law Firm Dongyang General Law Firm, Attorneys Kim Sung-sung et al., Counsel for the defendant-appellant

Judgment of the lower court

Seoul High Court Decision 91Na58002 delivered on June 25, 1993

Text

The appeal is dismissed.

The costs of appeal are assessed against the defendant.

Reasons

The defendant's attorney's grounds of appeal are examined.

1. 원심은 그 거시증거에 의하여, 원고들이 1989.6.24. 피고 병원과의 사이에 원고 2에 대한 망막박리유착을 위한 수술 등에 관한 의료계약을 체결하고, 같은 달 피고 병원 안과의사인 소외 이재흥, 같은 임진옥의 집도로 망막박리유착을 위한 수술을 받았으나 박리된 망막이 안구에 완전히 유착되지 아니하자 같은 해 7.5.11:00경부터 같은 날 13:00경까지 재차 수술을 받은 사실, 위 원고가 1, 2차 수술을 받기 전에 각 수술시행 및 수술을 위한 전신마취에 따른 부작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반사전검사를 받았으나 아무런 이상이 없었던 사실, 위 2차 수술 당시 피고 병원 마취과장인 소외 1은 같은 마취과 의사인 소외 2 등의 보조를 받으며 위 원고에게 근이완제를 사용하여 위 원고의 온몸근육을 이완시켜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아이디(ID)규격 지름 6㎜의 저압력기낭기관튜브를 위 원고의 기관에 삽관한 다음 적정한 양압을 받아 에쓰렌, 소기를 위 튜브를 통하여 수술 종료시까지 계속 흡입하여 전신마취를 실시한 사실, 같은 날 13:00경 위 수술이 끝나자 위 원고의 자발호흡이 용이하도록 하는 등 용태관찰을 위하여 약 20분간 수술실에 대기시켰다가 기관 내 튜브 삽관을 유지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외에는 별다른 조처없이 그날 13:25경 회복실로 보낸 후부터 담당간호사인 소외 3이 위 원고의 바이탈싸인(혈압, 호흡수, 심박수, 체온 등)을 측정하였으나 별 이상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대로 자발호흡을 유지하게 한 사실, 그런데 간호사인 소외 4가 그날 13:33경 위 원고에 대한 바이탈싸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혈압을 측정하려는 순간 위 원고의 온몸이 청색증으로 피부색이 변해 있고 피하기종으로 온몸이 부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즉시 위 원고의 기관내 삽관되어 있던 튜브에 앰뷰백(ambu bag)을 연결하여 가압식인공호흡을 실시하고 회복실 담당의사인 소외 김종성은 그날 13:35경 회복실 근무 간호사들이 위 원고에게 심장맛사지 등을 한 후, 그날 13:45경 피고 병원 흉부외과 의사인 소외 6에게 의뢰하여 흉부상부의 피하조직을 절개하고(이때 심한 공기유출이 이루어졌다), 그날 14:00경에 이르러 부늑막강 속에 씨-튜브(Chest-tube)를 삽입하여 늑막강 속에 찬 공기를 빼내는 등 흉부관삽입술을 시술한 사실, 위 원고는 그날 14:10경 호흡기 중환자실로 옮겨졌는데 전체적인 부종은 공기가 빠지면서 많이 나아지고 흉부관삽입술 후 폐기흉이 호전되었으나 이 같은 과정속에 저산소뇌후유증으로 인한 신경마비상태가 된 사실, 이러한 저산소증은 치명적인 폐기흉과 광범위한 피하기종으로 폐가 수축되어 혈액의 산소화를 극도로 방해할 정도의 호흡부전현상이 유발되었거나 뇌에 혈류의 공급을 어렵게 하거나 일시 정지시킬 정도로 심장이나 대동맥이 압박되어 발생하게 된 것으로 보이며 이 저산소증으로 인하여 위 원고가 회복불능의 뇌세포손상에 이르게 된 사실, 기흉의 발생원인은, 첫째 수술도중에 기관지, 식도, 폐 또는 횡경막에 직접 손상을 가한 경우, 둘째 마취도중에 기관지 또는 폐등에 과도한 압력을 가한 경우, 셋째 환자가 호흡기계질환이 있는 경우, 넷째 환자가 폐포의 벽이 파열되어 큰 폐포가 형성되어 있거나 정상인에 비하여 늑막이 약하거나 하여 소위 특이체질자인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는 사실, 전신마취 시술 후 회복시에는 저산소혈증, 기흉, 제한성 또는 폐쇄성 드레싱 등의 합병증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시술 및 마취담당의사로서 환자의 체위, 오심 구토, 청색증, 호흡장애, 불안 흥분 등에 관해서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청색증이나 피하기종은 이러한 기흉이 상당히 진행되어 나타나기 시작하고 흔히 수술 중 발생되는 경우라도 수술 후에 명확해지는 수가 많으므로 회복환자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요구되고, 기흉에 의한 청색증인 경우 100% 산소로 인공호흡을 시키면서 빠른 시간 내에 흉부관삽입술을 시행하여 폐를 누르고 있는 늑막강 내 공기를 뽑아냄과 동시에 위축된 폐를 팽창시켜 몸 전신에의 혈류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야 하는 사실, 위 원고가 더 어린 시절 바이러스성 폐렴을 앓은 적이 있지만 그 즉시 완치되어 그 이후 그로 인한 후유증세가 남아 있지 않고, 1979.3.29.경 선천성기도누관증상이 있어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전신마취 아래 구개성형수술 또는 비누강누관수술을 받은 적이 있으나 당시 마취 및 회복에 아무런 이상이 없었고 이 수술 역시 호흡기계 이상을 유발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하고 있는바, 기록에 의하여 증거관계를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As determined by the court below, it is difficult to find that the Plaintiff 2’s crymosis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recovery immediately after Nonparty 1’s crymosis treatment, an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re was any other cause between the crymosis and the crymosis treatment, and that there was no abnormal symptoms due to crymosis at the time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at there was no crymosis treatment at the time of the second operation, as seen in the results of all the tests for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crymosis before the commencement of the oper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that the Plaintiff was a unique crymor who could not be seen as being suffering from crymosis for 12 years before the operation (the first and second causes of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crymosis treatment after the first or second.

Therefore, the court below is justified in finding the negligence on the part of the defendant hospital in the process of anesthesia, and there is no error in the misapprehension of legal principles as t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octor's negligence, medical practice and the occurrence of damages, as in the theory of lawsuit. The argument is without merit.

Therefore, the appeal is dismissed and all costs of appeal are assessed against the losing party. It is so decided as per Disposition by the assent of all participating Justices on the bench.

Justices Chocheon-sung (Presiding Justice)

심급 사건
-서울고등법원 1993.6.25.선고 91나58002
참조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