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
현행

법관징계법

[시행 2022.07.05.] [법률 제18720호 2022.01.04. 일부개정]
대법원(법원행정처), 02-3480-1100,1114
제1조 (목적)

이 법은 법관의 징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조 (징계 사유)

법관에 대한 징계 사유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법관이 직무상 의무를 위반하거나 직무를 게을리한 경우

2. 법관이 그 품위를 손상하거나 법원의 위신을 떨어뜨린 경우

[전문개정 2011. 4. 12.]
제3조 (징계처분의 종류)

① 법관에 대한 징계처분은 정직ㆍ감봉ㆍ견책의 세 종류로 한다.

② 정직은 1개월 이상 1년 이하의 기간 동안 직무집행을 정지하고, 그 기간 동안 보수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③ 감봉은 1개월 이상 1년 이하의 기간 동안 보수의 3분의 1 이하를 줄인다.

④ 견책은 징계 사유에 관하여 서면으로 훈계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4조 (법관징계위원회)

① 법관에 대한 징계사건을 심의ㆍ결정하기 위하여 대법원에 법관징계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 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위원 6명으로 구성하고, 예비위원 3명을 둔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5조 (위원장 및 위원)

① 위원회의 위원장은 대법관 중에서 대법원장이 임명하고, 위원은 법관 3명과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람 중 각 1명을 대법원장이 각각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개정 2014. 12. 30.>

1. 변호사

2. 법학교수

3. 그 밖에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② 예비위원은 법관 중에서 대법원장이 임명한다.

③ 위원장ㆍ위원 및 예비위원의 임기는 각각 3년으로 한다.

④ 위원장은 위원회의 사무를 총괄하고 회의를 소집하며, 의결할 때 표결권을 가진다.

⑤ 위원장에게 제10조에 따른 사유 등으로 그 사무를 처리하지 못할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위원이 그 직무를 대리하고, 위원에게 같은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위원장이 지명하는 예비위원이 그 직무를 대리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6조 (위원회의 간사)

① 위원회에 간사를 두며, 간사는 법관 중에서 대법원장이 임명한다.

② 간사는 위원장의 명을 받아 징계사건에 관한 기록과 그 밖의 서류의 작성 및 보관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7조 (징계청구와 징계심의의 개시)

① 위원회의 징계심의는 다음 각 호의 사람의 징계청구에 의하여 개시한다.

1. 대법원장

2. 대법관

3. 해당 법관에 대하여 「법원조직법」에 따라 사법행정사무에 관한 감독권을 가지는 법원행정처장, 사법연수원장, 각급 법원장, 법원도서관장

② 제1항에 따른 징계청구권자는 해당 법관에게 징계 사유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그에 관하여 조사할 수 있다.

③ 징계청구권자는 제2항에 따라 조사한 결과 제2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고 인정할 때에는 징계를 청구하여야 한다.

④ 징계의 청구는 위원회에 서면으로 제출하는 방식으로 한다.  <개정 2017. 12. 19.>

[전문개정 2011. 4. 12.]
제7조의 2 (징계부가금)

① 제7조에 따라 징계청구권자가 징계를 청구하는 경우 그 징계 사유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징계 외에 다음 각 호의 행위로 취득하거나 제공한 금전 또는 재산상 이득(금전이 아닌 재산상 이득의 경우에는 금전으로 환산한 금액을 말한다)의 5배 내의 징계부가금 부과 의결을 위원회에 청구하여야 한다.  <개정 2022. 1. 4.>

1. 금전, 물품, 부동산, 향응 또는 그 밖에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공한 경우

2.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것을 횡령(橫領), 배임(背任), 절도, 사기 또는 유용(流用)한 경우

가. 「국가재정법」에 따른 예산 및 기금 

나. 「지방재정법」에 따른 예산 및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기본법」에 따른 기금 

다. 「국고금 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국고금 

라.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보조금 

마. 「국유재산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국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제2조제1항에 따른 물품 

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공유재산 및 물품 

사. 그 밖에 가목부터 바목까지에 준하는 것으로서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것 

② 위원회는 징계부가금 부과 의결을 하기 전에 징계부가금 부과 대상자가 다른 법률에 따라 형사처벌을 받거나 변상책임 등을 이행한 경우(몰수나 추징을 당한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다른 법령에 따른 환수나 가산징수 절차에 따라 환수금이나 가산징수금을 납부한 경우에는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조정된 범위에서 징계부가금 부과를 의결하여야 한다.

③ 위원회는 징계부가금 부과 의결을 한 후에 징계부가금 부과 대상자가 형사처벌을 받거나 변상책임 등을 이행한 경우(몰수나 추징을 당한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환수금이나 가산징수금을 납부한 경우에는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미 의결된 징계부가금의 감면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④ 제1항에 따라 징계부가금 부과처분을 받은 사람이 납부기간 내에 그 부가금을 납부하지 아니한 때에는 대법원장은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할 수 있다. 다만, 체납액 징수가 사실상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징수를 관할 세무서장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⑤ 대법원장은 제4항 단서에 따라 관할 세무서장에게 징계부가금 징수를 의뢰한 후 체납일부터 5년이 지난 후에도 징수가 불가능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위원회에 징계부가금 감면의결을 요청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17. 12. 19.]
제7조의 3 (재징계등의 청구)

① 징계청구권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대법원에서 징계 및 징계부가금 부과(이하 “징계등”이라 한다) 처분의 무효 또는 취소 판결을 받은 경우에는 다시 징계등을 청구하여야 한다. 다만, 제3호의 사유로 무효 또는 취소 판결을 받은 감봉ㆍ견책 처분에 대해서는 징계등을 청구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법령의 적용, 증거 및 사실 조사에 명백한 흠이 있는 경우

2. 위원회의 구성 또는 징계등 의결에 절차상의 흠이 있는 경우

3. 징계양정 및 징계부가금이 과다(過多)한 경우

② 징계청구권자는 제1항에 따른 징계등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대법원의 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위원회에 징계등을 청구하여야 하며, 위원회에서는 다른 징계사건에 우선하여 징계등을 의결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2017. 12. 19.]
제7조의 4 (퇴직 희망 법관의 징계 사유 확인 등)

① 대법원장은 법관이 퇴직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2조에 따른 징계 사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확인 결과 정직에 해당하는 징계 사유가 있는 경우 징계청구권자는 지체 없이 징계등을 청구하여야 한다.

③ 위원회는 제2항에 따라 징계등이 청구된 경우 다른 징계사건에 우선하여 징계등을 의결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2017. 12. 19.]
제8조 (징계등 사유의 시효)

① 징계등 청구는 징계등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이 지나면 하지 못한다.  <개정 2022. 1. 4.>

1. 징계등 사유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10년

가.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금지행위 

나.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다.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라. 「양성평등기본법」 제3조제2호에 따른 성희롱 

2. 징계등 사유가 제7조의2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5년

3. 그 밖의 징계등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3년

② 제20조에 따라 징계절차를 진행하지 못하여 제1항의 기간이 지나거나 그 남은 기간이 1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제1항의 기간은 제20조에 따른 절차가 완결된 날부터 1개월이 지난 날에 끝나는 것으로 본다.  <신설 2017. 12. 19.>

③ 제7조의3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대법원에서 징계등 처분의 무효 또는 취소 판결을 한 경우에는 제1항의 기간이 지나거나 그 남은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에도 그 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3개월 이내에는 다시 징계등을 청구할 수 있다.  <신설 2017. 12. 19.>

[전문개정 2011. 4. 12.][제목개정 2017. 12. 19.]
제9조 (징계청구서의 송달)

위원회는 징계청구서의 부본(副本)을 징계가 청구된 법관(이하 “피청구인”이라 한다)에게 송달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0조 (제척ㆍ기피ㆍ회피)

① 위원장 및 위원은 자신 또는 그 친족에 대한 징계사건의 심의ㆍ결정에 관여하지 못한다.

② 징계청구인이 위원인 경우에 그 위원은 해당 사건의 심의ㆍ결정에 관여하지 못한다.

③ 피청구인은 위원장 또는 위원에게 제1항 또는 제2항의 사유가 있거나 징계결정의 공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때에는 위원회에 그 사실을 서면으로 소명(疏明)하여 기피를 신청할 수 있다.

④ 위원회는 제3항의 신청에 대하여 지체 없이 결정하여야 하며, 기피신청의 대상이 된 위원장 또는 위원은 그 결정에 관여하지 못한다.

⑤ 위원장이나 위원은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경우에는 회피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1조 (예비심의)

① 위원회나 위원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제13조에 따라 심의를 개시하기 전에 예비심의를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② 예비심의를 할 경우에는 위원장이 위원 중에서 예비심의위원을 지명한다.

③ 예비심의 절차에 관하여는 그 성질에 반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제12조부터 제17조까지, 제19조 및 제22조를 준용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2조 (피청구인에 대한 출석요구)

징계청구가 있을 때에는 위원장은 심의기일을 정하여 피청구인의 출석을 요구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3조 (징계의 심의)

① 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과반수가 출석한 경우에 심의를 개시한다.

② 위원장은 심의기일에 심의개시를 선언하고, 피청구인에게 징계가 청구된 원인사실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심문(審問)한다.

③ 위원은 위원장에게 알리고 제2항의 심문을 할 수 있다.

④ 징계심의는 공개하지 아니한다.

⑤ 위원회의 심의ㆍ결정에 참여한 사람은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4조 (피청구인과 징계청구인의 진술권 및 증거제출권)

피청구인과 징계청구인은 서면 또는 구술로 의견을 진술하거나 증거를 제출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5조 (변호인 등의 선임)

피청구인은 변호사를 변호인으로 선임하여 징계사건에 대한 보충진술과 증거제출을 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위원회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변호사가 아닌 사람을 특별변호인으로 선임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6조 (감정ㆍ증인신문 등)

위원회는 직권으로 또는 징계청구인ㆍ피청구인ㆍ변호인ㆍ특별변호인의 신청에 의하여 감정(鑑定)을 명하거나 증인을 신문(訊問)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 등에 사실조회를 하거나 서류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7조 (피청구인의 불출석)

위원회는 피청구인이 적법한 송달을 받고도 심의기일에 출석하지 아니하거나 진술권을 포기한 경우에는 피청구인의 진술 없이 서면에 의하여 심의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8조 (최종의견 진술권)

위원장은 피청구인과 변호인 또는 특별변호인에게 최종의견을 진술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19조 (간사의 참여와 심의기록의 작성)

간사는 사건의 심의에 참여하여 심의기록을 작성하고 위원장과 함께 서명 및 날인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0조 (징계절차의 정지)

① 징계 사유에 관하여 탄핵의 소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절차가 완결될 때까지 징계절차는 정지된다.

② 위원회는 징계 사유에 관하여 공소가 제기된 경우에는 그 절차가 완결될 때까지 징계절차를 정지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1조 (징계청구의 취하)

징계청구인은 징계청구 이후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는 등 피청구인이 제2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인정할 만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제24조에 따른 징계결정이 있기 전까지 징계청구를 취하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2조 (「형사소송법」 등의 준용)

서류의 송달, 기일의 지정ㆍ변경, 증인ㆍ감정인의 선서, 증인ㆍ감정인에게 지급하는 비용에 관하여는 이 법 또는 대법원규칙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형사소송법」과 「형사소송비용 등에 관한 법률」을 준용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3조 (위원회의 결정방식)

① 위원회가 징계사건에 관하여 결정하려는 경우에는 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다만, 제10조제4항 및 제11조제1항에 따른 결정과 제15조 단서에 따른 허가는 서면에 의하여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할 수 있다.

② 위원회가 제1항 본문에 따른 징계결정을 할 때 의견이 나뉘어 출석위원 과반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과반수에 이르기까지 피청구인에게 가장 불리한 의견의 수에 차례로 유리한 의견의 수를 더하여 그 중 가장 유리한 의견에 따른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4조 (위원회의 징계결정)

위원회는 심의를 종료하였을 때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결정을 한다.  <개정 2017. 12. 19.>

1. 징계 사유가 있고 이에 대하여 징계등 처분을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징계 사유의 경중(輕重), 피청구인의 근무성적, 공적(功績), 뉘우치는 정도, 그 밖의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그에 합당한 징계등 처분을 하는 결정. 다만, 징계등 처분을 하지 아니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불문(不問)으로 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2. 징계 사유가 인정되지 아니하는 경우: 무혐의 결정

[전문개정 2011. 4. 12.]
제25조 (징계결정서의 작성 및 송달)

① 위원회가 제24조에 따른 결정을 하였을 때에는 그 이유를 붙인 결정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결정서에는 위원장과 심의ㆍ결정에 관여한 위원이 서명 및 날인하여야 한다.

③ 제1항의 결정서의 정본(正本)은 징계청구인, 피청구인, 징계처분권자에게 각각 송달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6조 (징계등 처분 및 집행)

① 대법원장은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징계등 처분을 하고, 이를 집행한다.  <개정 2017. 12. 19.>

② 대법원장은 징계등 처분을 하였을 때에는 이를 관보에 게재한다.  <개정 2017. 12. 19.>

[전문개정 2011. 4. 12.][제목개정 2017. 12. 19.]
제27조 (불복절차)

① 피청구인이 징계등 처분에 대하여 불복하려는 경우에는 징계등 처분이 있음을 안 날부터 14일 이내에 전심(前審) 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대법원에 징계등 처분의 취소를 청구하여야 한다.  <개정 2017. 12. 19.>

② 대법원은 제1항의 취소청구사건을 단심(單審)으로 재판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제28조 (대법원규칙)

이 법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대법원규칙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11. 4. 12.]
부칙 <법률 제6082호, 1999. 1. 21.>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법관징계위원회 위원의 임기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의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위촉된 법관징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이 법의 시행과 동시에 종료된다.

③(다른 법률의 개정) 법원조직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6조 제1항중 “법관징계위원회의 징계처분”을 “징계처분”으로 한다.

부칙 <법률 제6082호, 1999. 12. 31.>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생략

제3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내지 ④생략

⑤법관징계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2조중 “형사소송비용법”을 “형사소송비용등에관한법률”로 한다.

제4조 생략

부칙 <법률 제8058호, 2006. 10. 27.>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법률 제9814호, 2009. 11. 2.>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징계시효 연장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징계 사유가 발생한 자에 대하여는 제8조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부칙 <법률 제10578호, 2011. 4. 12.>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법률 제12884호, 2014. 12. 30.>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법률 제15250호, 2017. 12. 19.>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징계부가금에 관한 적용례) 제7조의2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징계 사유가 발생한 경우부터 적용한다.

제3조(재징계등의 청구에 관한 적용례) 제7조의3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징계등 처분의 무효 또는 취소 판결을 받은 경우부터 적용한다.

제4조(징계등 사유의 시효 정지에 관한 적용례) 제8조제2항 및 제3항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징계등 사유의 시효기간이 만료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

제5조(징계등 사유의 시효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징계등 사유가 발생한 사람에 대하여는 제8조제1항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부칙 <법률 제18720호, 2022. 1. 4.>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7조의2제1항제2호사목의 개정규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징계시효 연장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징계등 사유가 발생한 경우 그 징계시효에 관하여는 제8조제1항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