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
대법원 2018.07.24 2012다116000

임금 등

주문

원심판결

중 휴일근로에 대한 연장근로 가산임금 청구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이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 보충서 등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안에서)를 판단한다.

1. 구 근로기준법(2018. 3. 20. 법률 제155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근로기준법’이라 한다) 제50조 제1항, 제42조 제1항, 제55조, 제56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30조 규정의 내용과 체계 및 취지, 법률 규정의 제개정 연혁과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입법 취지 및 목적, 근로관계 당사자들의 인식과 기존 노동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휴일근로시간은 구 근로기준법 제50조 제1항의 ‘1주 간 기준근로시간 40시간’ 및 제53조 제1항의 ‘1주 간 연장근로시간 12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1주 간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하여 이루어진 휴일근로에 대해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외에 연장근로에 따른 가산임금은 중복되어 지급될 수 없다

(대법원 2018. 6. 21. 선고 2011다112391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다. 가.

원고들은 피고에게 고용되어 환경미화원으로 근무하다가 퇴직한 사람들이거나 그 상속인들이다.

나. 피고는 원고들 또는 그 피상속인들(이하 통틀어 ‘원고 측’이라고 한다)이 속한 노동조합과 체결한 단체협약 및 행정자치부(현재 행정안전부) 2006년도 환경미화원 인건비 예산편성 참고자료 등에 따라 주 40시간 근무제를 시행하여 토요일과 일요일을 유급휴일로 정하였다.

원고

측은 2006. 4.부터 퇴직할 때까지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토요일과 일요일에도 근무를 하였다.

다. 피고는 원고 측의 휴일근로에 대하여 주 40시간 초과 여부와 무관하게 연장근로수당을 산정하지 않고 휴일근로수당만을 지급하였다.

3. 위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