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20.08.14 2019나87405
부당이득금
주문

1.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2. 원고(반소피고)는 피고(반소원고)에게 별지 목록 기재 토지에...

이유

본소와 반소를 함께 본다.

기초 사실

가. 원고는 1973. 10. 2. 별지 목록 기재 각 토지(이하 ‘이 사건 각 토지’라 한다)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고, 피고는 1991. 5. 28.부터 이 사건 각 토지에 도로를 개설하여 위 토지를 도로부지로 사용 중이다.

나. 한편 피고는 1991. 1. 11. 구 공공용지의 취득 및 손실보상에 관한 특례법 2002. 2. 4. 법률 제6656호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되었다.

(이하 ‘공특법’이라 한다)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4조에 따라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취득 협의에 갈음하는 공시송달을 실시한 후 1991. 2. 21. 위 각 토지에 대한 보상금 40,170,000원을 공탁하는 절차를 거쳤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2, 9호증, 을 제4 내지 7, 10호증(각 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의 쟁점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원고 소유인 이 사건 각 토지를 피고가 권원 없이 무단 점유하고 있음을 이유로 2012. 6. 20.부터 위 각 토지의 인도 완료일까지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피고는, 원고를 상대로 1991년경부터 위 각 토지에 도로를 개설하여 자주점유하고 있으므로 점유취득시효 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하고 있다.

결국 피고의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점유취득시효 완성 여부, 특히 자주점유 추정이 번복되는 사정이 있는지가 쟁점이 되는데, 원고는 피고가 공특법상 협의취득 절차로 행한 공시송달은 그 요건을 결여하여 절차가 위법하므로 피고의 자주점유 추정이 번복된다고 다툰다.

3. 점유취득시효 완성 여부에 대한 판단

가. 관련 법리 점유자가 점유개시 당시에 소유권취득의 원인이 될...

arrow